[제약사 리포트] 부광약품, 수익 하락에도 3년 만에 분기배당 재개…흑자 지속 자신감

김나영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부광약품 CI / 이미지 제작 = 김나영 기자
부광약품이 수익성 하락에도 3년 만에 분기배당을 시행하며 주주 환원 정책을 재개한다. 회사는 올 3분기 외형 확장에도 원가율 상승과 마케팅 비용 증가로 수익성은 주춤했다. 그럼에도 5분기 연속 흑자를 근거로 시장의 신뢰 회복과 밸류업 행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매출 성장에도 수익 악화, 경영 효율 제고 필요
부광약품 최근 5개 분기 실적 추이 / 자료 = 공시
부광약품은 21일 올 3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1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9.3% 하락했다고 잠정 공시했다. 직전 분기와 비교해도 51.4% 하락했다. 회사의 영업이익률은 2.1%로 전년 동기 7.5%에서 5.5%포인트(p) 하락했다.

회사의 매출이 지속 성장 중인 것과는 대비된다. 부광약품은 항정신병 신약 '라투다', 당뇨병성 신경병증 치료제 '덱시드·치옥타시드' 등 주요 품목 성장세를 기반으로 3분기 매출액 478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한 수치다. 누적으로는 1382억원을 기록해 1년 전보다 21% 오른 매출고를 기록했다.

외형 성장에도 내실이 악화된 원인으로는 경영효율성 저하로 해석된다. 매출은 늘었지만 영업비용 등이 더 빠르게 증가한 탓이다. 부광약품의 올 3분기 매출원가율은 57.2%으로 작년 동기 53.5% 대비 3.7%p 올랐다. 여기에 주요 품목의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한 학술행사·프로모션 비용이 늘었다. 회사는 지난 9월 라투다 출시 1년을 맞아 이틀간 심포지엄을 진행하는 등 제품 홍보에 집중한 바 있다.

부광약품 관계자는 "3분기는 마케팅 활동이 특히 몰려있는 시기"라면서 "수익성 하락이 추세로 굳어지는 상황이 아닌 마케팅 비용 증가로 인한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매출원가율 역시 지속적으로 줄이기 위해 노력 중"이라며 "연간 실적으로는 더 많은 수익을 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분기배당 3년 만에 재개, "주주 약속 지킨다"
부광약품 주주환원 정책 / 자료 = 부광약품 IR 
부광약품은 2분기 연속 수익성이 주춤한 상황에도 3년 만에 분기배당을 재개하기로 결정, 주주환원 정책을 강화한다. 회사는 실적 발표 직후 주당 50원, 총 49억323만원 규모의 현금 배당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배당기준일은 11월5일, 지급일은 11월20일이다.

회사는 2022년 이후 적자를 쌓아오다 지난해 3년 만에 영업이익 16억원을 기록, 흑자 전환에 성공했지만 한 차례 배당을 미룬 바 있다. 당기순이익이 300억원이 증가했음에도 연 26억원의 손실을 내면서다. 이에 이제영 부광약품 대표이사는 올 3월 주주총회에서 "올해까지 흑자기조 안정세가 확인될 경우 중간배당을 적극 검토하겠다"며 주주들에게 양해를 구한 바 있다.

올해는 이익률 변동성 속에서도 배당을 재개키로 하면서 주주환원 강화에 나섰다. 근거는 향후 흑자 지속에 대한 자신감이다. 회사는 지난해 3분기부터 올 3분기까지 △32억원 △19억원 △30억원 △20억원 △1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는 등 5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하며 비교적 안정적인 성장 궤도에 오른 상태다.

유상증자로 곳간을 채운 점도 배당 여력을 만든 요인이다. 부광약품은 지난 7월 유상증자로 약 893억원을 조달해 제조시설 확장과 신약 R&D 재원으로 투입 중이다. 회사는 자동화창고 신축과 신규 병포장라인 신설 등을 포함한 3단계 장기 로드맵을 추진하고 있다. 이외에도 덴마크 자회사 콘테라파마(Contera Pharma)가 개발 중인 파킨슨병 환자 대상 아침 무동증 치료제 'CP-012'의 임상 연구비용으로 일부 자금을 활용할 계획이다.

부광약품 관계자는 "배당을 원하는 주주분들이 많아 안정적인 수익이 나오면 꼭 재개하겠다는 약속을 했었다"면서 "지난해 3년 만에 흑자를 내긴 했으나 순이익은 아직 적자였던 만큼 분기 배당을 미뤘는데 이제는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겠다는 판단이 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