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이 최근 개편 뒤 미성년자 이용자에게 중독성이 강한 숏폼 콘텐츠를 남발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카카오는 지난달부터 카카오톡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지금탭에 숏폼 콘텐츠를 추가했다. 이에 관해 카카오는 개인정보보호 법·제도에 따라 미성년자에게 중독을 유도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카카오톡에서 숏폼이 먼저 보이도록 기본으로 설정돼 미성년자가 숏폼을 강제 시청하고 있다"고 말했다. 만 14세 미만 아동에게 동영상을 제공하려면 관련 법에 따라 보호자의 동의를 얻어야하는데 카카오가 이를 간과했다는 지적이다.
이어 황 의원은 "미성년자의 시청 기록이 숏폼 추천·광고 알고리즘에 어떻게 활용되는지 알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이날 증인으로 출석한 우연규 카카오 부사장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가이드라인은 14세 미만 아동의 맞춤형 정보를 수집하지 못하도록 했다"며 "이 권고에 따라 14세 미만 이용자의 행태적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우려와 달리 미성년자 이용자에게 중독 위험이 높은 숏폼 추천 알고리즘을 적용하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카카오는 14세 이상 이용자의 비식별 정보 행태 데이터를 수집하고 추천 알고리즘에 활용한다. 비식별 정보는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요소를 모두 삭제한 데이터다. 우 부사장은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는 활용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 활용하더라도 개인정보위의 가이드라인 등 법령을 준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황 의원은 카카오가 카카오톡 개편으로 이용자 불편을 초래하고 주가 하락으로 투자자에게 손실을 안겼다고 지적했다. 카카오는 최근 앱 개편에서 기존 친구 목록을 인스타그램 등 SNS와 비슷한 피드형 프로필로 변경했다. 이를 두고 이용자 사이에선 친구의 프로필 사진을 불필요하게 자주 보고, 광고가 지나치게 많다는 불만이 나왔다. 카카오는 연내 카카오톡의 친구 목록을 복구할 계획이다.
황 의원은 카카오가 광고 수익 때문에 개편 이전으로 즉시 돌아가지 않는 것인지 의문을 제기했다. 이에 관해 우 부사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며 "조만간 빨리 개선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