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보현 대우건설 대표 "AI, DX 중심의 건설 혁신 주도할 것"

김호연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왼쪽부터) 김보현 대우건설 대표와 박명주 국토교통부 기술정책과장이 30일 2025 대우건설 스마트건설 포럼에서 전시공간을 둘러보고 있다./사진=김호연 기자


"인공지능(AI)과 디지털 전환(DX) 중심의 건설산업 혁신을 이끌겠다"

김보현 대우건설 대표이사는 30일 본사 푸르지오 아트홀에서 열린 '2025 대우건설 스마트건설 포럼'에서 이같이 말했다. 전통적인 사업 방식에 머물러 있던 건설산업에 첨단 기술을 접목해 효율성과 안전성을 끌어올리는 데 앞장서겠다는 방침이다.

이 자리엔 김 대표를 비롯해 박명주 국토교통부 기술정책과장, 심상철 대우건설 노조위원장 등이 참여했다. 한국기술연구원(KICT), KT, 엔비디아, 큐픽스 등은 발표자로 참여해 스마트건설 기술력의 현주소와 진로에 대해 소개했다.

김 대표는 축사를 통해 "우리는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거대한 변화의 물결 한가운데 서 있다"며 "AI와 DX는 더 이상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닌, 우리 산업의 근간을 바꾸는 동력"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사람이 직접 벽돌을 쌓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던 기존의 건설 방식은 안전과 기술력 측면에서 한계를 드러내고 있어 대안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대우건설이 내세운 스마트건설은 건물정보모델링(BIM)과 AI의 융합, 드론 등 로보틱스 기술력의 현장 적용,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정교한 시공 시뮬레이션 등 미래 건설 기술력을 총망라하는 개념이다. 대우건설은 각 분야 기술력의 연구·개발, 상업화를 이끌어 미래 건설시장을 선도할 계획이다.

김 대표는 "오늘 논의될 주제 하나하나가 바로 대우건설이 만들어갈 미래의 청사진"이라며 "전통덕인 건설 방식을 혁신해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건설산업의 새 표준을 제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날 김 대표가 강조한 세 가지 키워드는 스마트(Smart), 세이프(Safe), 서스테이너블(Sustainable)이다. 혁신 기술력 활용으로 효율성을 제고해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사업환경을 조성하겠다는 것이다. 이는 대우건설이 제시한 '기술비전 2030'으로 연결된다.

기술비전 2030을 소개한 정대기 대우건설 기술연구원장은 "기술비전 2030은 AI 기반 시공행정 혁신,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생산성 향상, 자동화 기반 안전 보장 등이 핵심"이라며 "지속가능한 기업가치 창출로 새로운 성장을 도모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김 대표는 "오늘 이 포럼이 단순히 지식을 공유하는 자리를 넘어 열린 소통과 긴밀한 협력을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혁신의 불씨를 지피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디지털 전환, 스마트건설을 위해 무엇보다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함께 성장하는 대우건설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