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 "롯데카드, IT 인프라·인력 동시 투자…정보보호 예산 축소는 오해"

황현욱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사진 제공=픽사베이, MBK파트너스
롯데카드의 사이버 침해사고로 논란이 이는 가운데 최대주주이자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MBK파트너스가 일각에서 제기된 '정보보호 예산 축소' 주장에 대해 사실과 다르다고 강조했다.

23일 MBK가 배포한 자료에 따르면 롯데카드는 주주사들이 교체된 2020년부터 △최신 IT 인프라 시스템 구축 △앱과 혁신 플랫폼 출시 △계정계 및 인터페이스 고도화 등 대규모 설비투자(Capex)를 집행해왔다. 동시에 △IT 기획 △아키텍처 △보안 △디지털 개발 분야에서 전문 인력을 내재화해 아웃소싱 의존도를 줄이고 운영 역량을 강화하는 운영비(Opex) 투자에도 적극 나섰다.

실제로 은행이나 보험에 비해 카드업계 전반이 높은 IT 아웃소싱 의존도를 보이는 가운데 롯데카드의 IT 인력 내재화율은 32%에 달한다. 이는 업계 평균을 크게 웃도는 수치로 MBK는 이를 통해 롯데카드가 보안과 IT 역량을 장기적으로 강화해 왔음을 설명했다.

정보보호 분야에서도 단순한 설비투자에 그치지 않고 △매체제어·네트워크 보안 △방화벽 및 시스템 통제 등 보안 인프라 강화와 함께 △상시 모니터링 △보안 인력 확충 등을 병행해왔다.

MBK 관계자는 "일각에서 제기되는 예산 축소 주장은 Capex만 기준으로 해석한 것"이라며 "실제 롯데카드는 Capex와 Opex를 동시에 집행하며 금융기업의 핵심 가치인 정보보호 역량 강화를 지속해왔다"고 말했다. 이어 "MBK는 다른 주주사들과 함께 앞으로도 롯데카드가 보안과 IT 체계를 업계 최고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