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22일(현지시간) 현지 매체 라디오 스푸트니크 인터뷰에서 "이 모든 정보 판이 거짓말이며 그들은 스스로 정보를 유포하고 수정하고 반박한다"며 "이 모든 것은 블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정보로 지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고 밝혔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의 회동 가능성에 대한 정보가 확인되면 이를 공유하겠다고 강조했다. 미국, 영국 등 서방 언론을 중심으로 두 장관의 회동이 무산된 뒤 미·러 정상회담도 보류됐다는 보도가 나온 것을 꼬집은 것이다.
실제로 양국 장관이 지난 20일 전화로 정상회담 준비를 논의한 이후 회동에 관한 발표가 나오지 않자 양국 간 '이상기류'가 발생했다는 기사가 잇따라 보도됐다. 앞서 지난 16일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은 전화 통화에서 우크라이나 문제 해결을 위해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정상회담을 하기로 합의했다.
러시아는 이를 두고 서방 언론의 방해 작업이라고 선을 긋고 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도 이날 브리핑에서 미·러 정상회담 준비가 중단됐느냐는 질문에 "모든 상황이 많은 가십과 소문 등에 둘러싸였다는 것은 명백하다"며 "대부분 사실이 아니며 뉴스는 아직 없다"고 타스 통신이 보도했다.
러시아 일간 코메르산트는 "러시아와 미국이 부다페스트 정상회담 개최를 서두르지 않는 것은 양국이 해결책을 함께 도출해야 하고 이는 휴전 합의뿐 아니라 영토 문제까지 포함되는 문제여서일 것"이라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