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3년까지 60만명 대체 가능"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이 사업 운영의 75%를 자동화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인공지능(AI)과 로봇 등 자동화를 통해 2033년까지 약 60만명이 대체될 수 있을 것으로 추산됐다.
뉴욕타임스(NYT)는 21일(현지시간) 아마존이 향후 사업 운영의 75%를 자동화하겠다는 내용의 내부 전략 문건을 확인했으며, 이는 지난해 아마존 이사회에도 보고됐다고 보도했다.
해당 문건에 따르면, 아마존 자동화 업무팀은 2027년까지 미국 내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 가운데 약 16만명을 자동화로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이를 통해 아마존이 판매하는 제품 1개당 포장·배송 비용을 약 30센트(약 430원)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계산됐다.
또 2033년까지 제품 판매량이 지금보다 두 배로 증가하더라도 추가적인 인력 충원 없이 인공지능과 로봇을 활용한 자동화만으로 대응이 가능하다는 전망을 내놨다. 결과적으로 이를 통해 대체되는 잠재적 신규 고용 인력이 60만명에 이른다고 NYT는 짚었다.
아마존은 팬데믹 기간 온라인 쇼핑 수요 급증으로 인해 인력을 대규모로 채용해 현재 미국 내 직원 수가 약 120만명에 달한다. 이는 월마트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고용 규모다. 그러나 자동화 전략이 본격적으로 시행될 경우 아마존의 고용 증가세는 크게 둔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발 줄이기 위해 '로봇' 대신 '코봇' 용어 선택… 신중한 대외 커뮤니케이션 제안
문건에는 신규 고용 축소에 따른 반발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역사회 행사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다는 내용도 담겼다. 또 자동화나 AI 대신 '첨단기술'이라는 용어를, 로봇 대신 '인간과 협업하는 로봇'이라는 의미의 '코봇(cobot)'이라는 표현을 사용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NYT는 전직 아마존 간부들을 인용해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가 로봇과 AI를 활용한 '전면적 자동화 비전'을 오랜 목표로 삼아 왔다고 전했다.
아마존 "문건은 전체 전략 아냐"
다만 아마존은 NYT 보도에 성명을 내고 "NYT가 확인한 문서는 불완전하며 회사의 전반적인 고용 전략을 대표하지 않는다"며 "올해 연말 시즌에만 25만명을 고용할 계획"이라고 해명했다.
지난해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다론 아제모을루 미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는 NYT에 "아마존보다 더 자동화를 추진할 유인을 가진 회사는 없을 것"이라며 "그들이 자동화를 수익성 있게 하는 방법을 증명한다면 다른 회사로도 확산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자동화 계획이 실현되면 아마존은 순일자리 창출자가 아니라 순일자리 파괴자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