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 4년 만에 최대폭 하락…트럼프·시진핑 회담 앞두고 과열 랠리 제동

권해영 기자
입력
수정 2025.10.22. 오후 3:34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미·중 무역 갈등 완화 기대에 안전자산 선호 둔화
달러 강세·차익 실현 매물 출회로 ↓
국제 금값이 최근 급등세를 멈추고 4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긴장 완화 기대감에 더해, 그간 과열 양상을 보였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투자심리가 빠르게 식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9일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에서 직원이 골드바를 들어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21일(현지시간) 런던귀금속거래소(LBMA)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21분 현재 금 현물 가격은 전일 대비 3.4% 하락한 온스당 4028.73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전날 온스당 4391.52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뒤 하락세로 돌아섰으며, 장중 한때 최대 3.8% 급락하기도 했다. 이는 2021년 이후 가장 큰 폭의 하락세다.

최근 금값이 가파르게 오르면서 투자 과열 우려가 커진 가운데, 단기 차익 실현 매물이 쏟아진 것이 하락을 부추겼다는 분석이 나온다. 여기에 미국 달러화 강세가 겹치며 다른 통화 보유자 입장에서 금의 상대적 가격 부담이 커진 점도 낙폭을 확대시켰다.

안전자산 수요 역시 둔화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다음 주 한국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미·중 정상회담을 열고 무역 갈등 완화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글로벌 긴장이 완화되고 안전자산 선호 심리도 진정되는 모습이다.

삭소 뱅크 AS의 올레 한센 원자재 전략가는 "조정과 이후의 (가격) 고착 우려가 커지면서 최근 며칠간 트레이더들의 경계감이 높아지고 있다"며 "시장의 진정한 힘은 조정 국면에 드러난다. 이번에도 예외는 아닐 것이며, 기저 매수세가 살아 있어 조정폭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세계,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