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독에 이어 세계 3위 보유…425조원 규모
"어떤 위기에도 마지막 수단으로 남겨둬야"국제 금값이 연일 최고치를 기록하는 가운데, 이탈리아의 전통적인 금 사랑이 주목받고 있다. 연합뉴스는 15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을 인용해 "이탈리아 중앙은행은 2452t의 금을 보유 중"이라며 "이는 미국 연방준비제도(8133t), 독일 분데스방크(3351t)에 이어 세계 3위 물량"이라고 보도했다.
현재 로마의 이탈리아 은행 본관 지하 금고에는 약 1100t의 금이 보관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비슷한 양이 미국에도 있으며, 영국과 스위스에도 소량 보관 중이다. 이탈리아 은행이 보유한 금은 현 시세로 3000억달러(약 425조원)에 달하며, 이는 지난해 국내총생산(GDP)의 13%에 달한다.
일각에서는 3조 5000억유로(약 5790조원)에 달하는 국가채무를 줄이기 위해 금을 매각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또 금괴를 매각해 필수 공공 서비스 비용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이탈리아 은행은 매각 의사를 보이지 않고 있다. 매체는 "이탈리아의 금 보유량은 수십 년에 걸친 꾸준한 보호와 거듭된 위기에서도 매각 요구를 거부해온 뚝심의 결과"라고 전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탈리아의 금에 대한 애착은 고대 이탈리아반도 중부 지역에 존재하던 에트루리아 문명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에트루리아인들은 숙련된 세공기술을 갖고 있었으며, 금 장신구가 번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 나치군이 파시스트 정권의 도움 아래 금 120t을 압류하면서 전쟁이 끝날 때쯤 이탈리아의 금 보유량은 20t까지 줄었다.
다만 전후 이탈리아가 수출 주도 경제로 성장하면서 달러화 유입이 늘었고, 이 중 일부가 금으로 바뀌었다. 이탈리아의 금 보유량은 1960년까지 1400t으로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이탈리아는 영국, 스페인 등과 달리 금융 위기 국면에서도 금을 팔지 않았으며, 지난 2008년 국가 부도 위기 때도 금을 매각하지 않았다.
살바토레 로시 전 이탈리아 은행 부총재는 자신의 저서 '오로(Oro·금)'에서 "금은 마치 집안의 은 식기, 할아버지의 귀한 시계 같은 것"이라며 "국가에 대한 국제적 신뢰가 흔들릴 때 어떤 위기에서든 마지막 수단으로 남겨두는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