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상, 이젠 안 올리는 게 대세…10곳 중 4곳에 불과

이이슬 기자
입력
수정 2025.10.03. 오전 11:51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농촌경제연구원 온라인 설문조사
바나나·오렌지 등 수입 과일도 늘어
절반 이상 "본가·친척집 방문" 응답
올해 추석에 차례상을 차리겠다는 가정은 10곳 중 4곳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3일 발표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전국 17개 시도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과일 소비자 패널 1000명 중 '추석 차례상을 차린다'고 답한 응답자는 40.4%였다. 이는 2016년 74.4%와 비교해 34.0%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불과 7년 사이 절반 가까이 줄어든 것이다. 연구원은 명절 의례 간소화, 핵가족화, 가치관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추석 차례상. 픽사베이


연휴 계획에 대해서는 '본가·친인척 집 방문'이 54.2%로 가장 많았으며, '집에서 휴식·여가'가 34.9%로 뒤를 이었다. 이어 '국내여행' 5.5%, '해외여행' 2.7% 순으로 조사됐다. 차례상을 차리지 않는 가정이 늘어난 것과 함께, 차례상을 준비하더라도 간소화하는 흐름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차례 음식 준비 방식은 '전통 예법에 맞춰 간소화한다'는 응답이 58.4%로 가장 높았고, '전통 예법에 따른 준비'는 21.0%에 그쳤다. '가족이 좋아하는 음식 위주'(14.9%), '조상이 좋아하던 음식 위주'(5.2%)라는 응답은 소수에 머물렀다. 2016년 조사와 비교하면 '전통 예법에 따른 준비'는 47.6%에서 21.0%로, '조상 선호 음식 위주'는 10.3%에서 5.2%로 절반 가까이 줄었다. 반면 '전통 예법에 맞춰 간소화'는 29.8%에서 58.4%로 두 배 가까이 늘었고, '가족 선호 음식 위주'도 12.4%에서 14.9%로 소폭 상승했다.

시민들이 추석을 앞두고 차례상 장을 보고 있다. 연합뉴스


차례상에 올리는 과일 역시 변화를 보였다. 국산 과일 가운데는 배(28.9%)와 사과(28.6%)가 비슷한 수준으로 가장 높았으며, 단감(17.4%)과 포도(13.2%)가 뒤를 이었다. 한편 수입 과일을 올린다는 응답은 34.9%로 2016년보다 11%포인트 증가했다. 수입 과일 중에서는 바나나(49.5%)가 압도적으로 많았고, 오렌지(22.0%), 키위(9.8%), 파인애플(7.9%) 순으로 집계됐다.

연구원 관계자는 "명절 의례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면서 가족 중심의 실용적인 명절 문화로 재편되는 추세"라고 바라봤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