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아’는 21대 대통령 취임에 맞춰 5년간 대한민국을 이끌어 나갈 ‘이재명 시대 파워 엘리트’ 111명을 조명합니다. 대통령실 및 여당 관계자, 출입기자들의 정보와 언론보도 경향성 등을 종합해 선정했으며, ‘신동아’ 7월호를 통해 전체 인물 111명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편집자 주>
그는 2018년 이 대통령이 경기도지사 시절 ‘친형 정신병원 강제 입원’ 의혹과 관련한 허위사실공표 혐의(공직선거법 위반 등)로 재판을 받을 때 변호인단으로 참여하면서 인연을 맺었다. 같은 해 김혜경 여사가 이른바 ‘혜경궁 김씨’ 사건으로 검찰 수사를 받을 때도 변호인으로 나서 무혐의 처분을 이끌어냈다.
이후 이 전 위원장은 이 대통령의 핵심 법률 참모로 활약했다. 이 대통령이 당대표를 맡은 2022년에는 민주당 법률위원장으로 이름을 올렸다. 20대 대선에선 법률지원단장을, 이번 21대 대선 경선에선 법률지원단 부단장, 본선을 앞두고 선거대책위원회에서는 공명선거 법률지원단 부단장을 맡았다.
당초 이 전 위원장은 이재명 정부에서 실질적 인사 검증과 감찰, 사정 실무를 담당하는 민정비서관에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오광수 민정수석이 사퇴하면서 공석이 된 민정수석 후보로도 거론된다.
1967년 경남 산청에서 태어난 이 전 위원장은 서울 영등포고와 고려대 법학과를 졸업했다. 1998년 서울지검 동부지청(현 동부지검)에서 검사 생활을 시작했으며 국가정보원 파견 근무와 수원지검 공안부장, 의정부지검 차장검사를 지낸 ‘공안통’이다.
한편 이 전 위원장과 변호인단이 2018년 친형 관련 이 대통령의 변호를 맡았을 때 변호사 비용을 쌍방울그룹이 대납했다는 의혹이 불거졌다. 이 의혹은 검찰이 증거불충분으로 불기소처분을 내렸으나 불기소 결정문에서 “쌍방울그룹이 전환사채 편법 발행과 유통 등 횡령 및 배임으로 얻은 이익이 변호사비로 대납됐을 개연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며 추가 수사의 필요성을 강조해 뒷맛을 남겼다.
출생 1967년 경남 산청
학력 서울 영등포고, 고려대 법학과 졸업
경력 수원지검 공안부장, 민주당 법률위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