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골 치킨집에 라지 사이즈 치킨을 계속 주문해왔으나 그 동안 이보다 작은 레귤러 사이즈 치킨을 보내줬다는 것을 뒤늦게 알게 된 고객의 사연이 논란이다.
23일 온라인 커뮤니티에 따르면 글쓴이 A씨는 '집근처 ○○○○ 진짜 열 받네요' 라며 글을 올렸다.
A씨는 자신의 아파트 길 건너면 있는 B 프랜차이즈 치킨집의 한 지점에 자주 치킨을 주문했다고 한다.
특히 아이들이 좋아해서 2만3000원짜리 라지 사이즈 치킨을 항상 주문해왔고, 자주 가다보니 가게 사장과 안면을 트고 인사도 할 정도였다고.
그런데 최근 해당 매장이 쉬는 날이어서 B 프랜차이즈의 다른 지점에 주문을 한 뒤 A씨는 깜짝 놀라고 말았다.
같은 메뉴를 시켰는데 다른 지점에서 온 치킨 상자가 그 동안 동네 지점에서 받은 치킨 상자보다 훨씬 컸던 것이다.
A씨는 "양이 차이 나도 너무 나서 퇴근길에 가게에 가서 사진을 보여주며 어떻게 된 건지 사장님께 여쭤보니 대뜸 '그 동안 레귤러 사이즈 주문했던 것 아니냐'고 하는 거다"고 밝혔다.
레귤러 사이즈는 A씨가 시킨 라지 사이즈보다 2000원이 저렴했다.
A씨가 핸드폰 카드 결제 내역에 2만3000원이 결제된 내역이 50회 이상 기록된 걸 보여줬더니 가게 사장은 "배달앱으로 주문해야 본인들이 정확하게 주문 확인이 쉽다"며 "다음부터는 배달앱을 쓰라"고 했다.
또 사과도 하지 않고 "다음부턴 주문하면 2L 콜라 서비스로 계속 주겠다"고 하고 주방으로 들어갔다고 한다.
A씨는 "배달앱 쓸 줄 몰라서 안 쓴 게 아니다"라며 "앱을 통하면 본인들(매장) 수수료나 부대 비용이 많이 나가는 걸 아니까 동네에서 좀 도움되라고 전화 주문을 했던 건데 너무 배신감이 들었다"고 토로했다.
그는 "앞으로는 동네 치킨집이고 뭐고 배달앱으로 주문하려고 한다"고 한탄했다.
이 같은 사연에 누리꾼들은 "2000원 차이라도 50번이 넘으면 10만원도 넘는 건데 심했다" "나도 몇번 당해보고 전화로 안 하고 그냥 앱으로 시킨다" "같은 돈 주고 앱 안 쓰면 서비스 안 주는 곳도 많다" "나 같으면 본사에 항의했다" 등으로 분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