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 AI 부문 600명 감원…"조직 슬림화로 초지능 연구 집중"

우승민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초지능 연구소' 인력 구조조정 단행
메타 로고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우승민 기자] 페이스북의 모회사 메타(Meta)가 인공지능(AI) 핵심 조직인 '초지능 연구소(Superintelligence Labs)'에서 약 600명을 감원했다.

22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 등에 따르면 메타는 최근 3년간 급격한 인력 확충으로 비대해진 조직을 정비하기 위한 조치라며 이번 구조조정이 AI 사업 축소가 아닌 효율화를 위한 결정이라고 밝혔다.

메타는 오픈AI·구글·MS 등과의 경쟁 속에 뒤처졌다는 평가를 받아온 만큼, 이번 감원을 통해 의사결정 구조를 단순화하고 초지능(AI Superintelligence) 개발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메타는 최근 몇 년간 세계 최고 수준의 AI 인재를 영입해 왔다.

지난 6월에는 알렉산더 왕이 공동 창업한 AI 스타트업 '스케일AI'(ScaleAI)에 143억 달러를 투자하고, 이후 왕을 비롯해 핵심 인재들을 데려왔다.

또 오픈AI와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등 주요 연구소의 인재들을 수억 달러에 달하는 보상 조건으로 스카우트하며 AI 역량 강화에 집중해 왔다.

메타의 신임 최고 AI 책임자인 왕을 비롯해 인간의 지능을 능가하는 '초지능' 개발을 목표로 영입된 신규 인력들은 이번 감원에 포함되지 않았다.

왕은 직원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팀 규모를 줄이면 의사결정 과정이 단순해지고, 각 개인의 책임과 영향력이 커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대규모 감원은 챗GPT 출시 이후 치열해지고 있는 AI 경쟁 환경 속에서 메타가 겪고 있는 압박을 반영한다.

메타는 오픈AI와 구글, MS가 발 빠르게 차세대 AI 제품을 내놓는 동안 페이스북·인스타그램·왓츠앱 등의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AI에서 뒤처졌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초기에는 오픈소스 AI 모델 '라마'로 주목받았지만, 이후 18개월 동안 제품 개발이 지연됐고 지난 4월 발표한 '라마4'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이에 마크 저커버그 최고경영자(CEO)는 대대적인 AI 조직 재정비에 나섰다.

메타 측은 "이번 감원이 AI 사업 축소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초지능 개발은 여전히 저커버그 CEO의 최우선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