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차 '역대 최대'…비정규직 평균은 208만원·정규직은?

김도정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한 구직자가 일자리 정보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임금근로자 3명 중 1명 비정규직일 정도로 올해 비정규직 규모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격차도 180만원 이상으로 가장 크게 벌어졌다.

국가데이터처가 22일 발표한 '2025년 8월 경제활동인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비정규직 근로자는 856만8000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11만명 증가했다.

이는 2003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규모로, 2023년 이후 2년 연속 증가세다.

정규직 근로자는 1384만5천명으로 16만명 늘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근로자 모두 증가하면서, 임금근로자 2천241만3천명 중 비정규직이 차지하는 비중은 38.2%로, 작년과 같았다. 이는 2019년 이후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 비정규직이 23만3000명 증가한 304만4000명으로, 처음으로 300만명을 넘어섰다. 2003년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다. 

전체 비정규직 근로자 중 60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35.5%로, 전년 대비 2.3%포인트(p) 상승했다.

30대 비정규직도 6만6000명 증가하며 전체 비정규직의 13.3%를 차지했다. 40대(-10만6000명), 29세 이하(-5만8000명), 50대(-2만5000명)는 감소했다.

성별로는 여성이 전체 비정규직의 57.4%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비정규직 근로자의 최근 3개월 월평균 임금은 208만8000원으로, 작년보다 4만원 증가했다.

정규직 근로자는 389만6000원으로 10만원 증가했다.

두 집단 모두 2004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차이는 180만8000원으로, 역대 최대치다.

다만 시간제 근로자를 제외한 비정규직의 월평균 임금은 303만7000원으로, 처음으로 300만원을 돌파했다.

시간제 근로자는 동일 사업장에서 같은 일을 하는 근로자의 소정 근로시간보다 1시간 이상 짧게 일하는 근로자를 말한다.

송준행 국가데이터처 고용통계과장은 "비정규직 안에는 시간제 근로자가 상당수 포함돼 있다"며 "이들은 일반 근로자보다 일하는 시간이 적어 상대적으로 임금이 낮고, 이로 인해 비정규직 전체 평균 임금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 점을 종합적으로 봐야 한다"고 풀이했다.

전체 임금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320만5000원으로 작년보다 7만7000원 증가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