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펑' 소리와 함께 불길…中 항공, 기내 화재로 비상착륙

김영서 기자 TALK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사진 웨이보 갈무리]
[이코노미스트 김영서 기자] 18일 복수의 중국 현지 매체에 따르면, 중국 항저우에서 인천으로 가던 중국국제항공(에어차이나) 여객기가 기내 수화물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상하이 푸둥국제공항에 비상 착륙했다. 해당 여객기는 오전 9시 47분경 항저우 샤오산국제공항을 이륙해 인천국제공항으로 향하던 중국국제항공 CA139편(에어버스 A321 기종)이었다.

중국국제항공은 SNS(소셜미디어)를 통해 "한 여행객이 수하물 칸에 실은 수하물 내 리튬배터리가 자연 발화했다"며 "승무원들이 절차에 따라 즉시 처치해 인명피해는 없었다"고 밝혔다. 이어 "비행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비행기는 상하이 푸둥공항에 착륙했고 항공기를 조정해 항공편 업무를 계속 집행했다"고 설명했다.

이후 해당 항공편은 오후 3시 3분 상하이를 출발해, 오후 5시 34분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했다. 소셜미디어에 퍼진 영상에는 기내 수하물 선반에서 불이 나자 승객들이 비명을 지르고, 승무원들이 진화에 나서는 모습이 담겼다. 이 항공편 탑승객이라 주장하는 네티즌은 "펑 하는 소리와 함께 불길이 뿜어져 나왔다"고 전하기도 했다.

현지 보도에 따르면 비행기가 이륙한 뒤 한 한국인 승객이 기내에 반입한 보조배터리에서 불이 났다. 해당 승객은 상하이에 비상 착륙한 뒤 중국 당국의 조사를 받았으며, 19일 귀국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19일 귀국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당국은 보조 배터리로 인한 비행기 내 화재가 잇따르자 올해 6월 28일부터 자국 안전인증인 '3C' 마크가 없는 배터리의 중국 국내선 기내 반입을 금지했다. 하지만 국제선은 이 규정 적용을 받지 않는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