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여행 갈 때 5만원 낸다?...'여행 허가 수수료' 도입 추진

김정훈 기자 TALK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2028년 도입 추진 중인 전자도항인증제도(JESTA)
미국처럼 수수료 받는 것 검토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출국장 전광판에 일본행 비행편이 안내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일본이 오는 2028년부터 여행객 등 입국자들을 대상으로 수수료를 받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미국은 사전에 온라인 비자를 발급받을 때 수수료를 받고 있다. 이런 식으로 일본도 비용을 받겠다는 계획이다.

18일 일본 언론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2028년 도입을 추진 중인 전자도항인증제도(JESTA)에 대해 미국처럼 수수료를 부과할 방침이다.

JESTA는 미국이 최장 90일간 관광·상용 목적으로 사증(비자) 없이 방문하려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시행 중인 전자여행허가제(ESTA)와 유사한 제도다.

비자 면제국의 여행객이 입국 전 온라인으로 성명, 체류 목적 등을 신고하면 이를 심사해 불법 체류 등 우려가 있을 경우는 허가해주지 않고 비자를 받도록 하는 방식이다. 수수료는 미국 ESTA(40달러) 수준을 참고해 정할 계획이다.

이는 고교등록금 무상화 등으로 재정 수요는 늘고 있지만 추가 세수 확보는 어렵자 입국 외국인을 상대로 재원을 확보하려는 구상의 일환이라고 이 신문은 전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