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가 연일 랠리를 이어가는 가운데 개인 투자자들이 상장지수펀드(ETF)에는 투자금을 쏟아부으면서도 개별 종목에 대한 직접 투자에는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증권사 등에서 직접투자할 때 잡히는 수급을 의미하는 금융투자는 코스피 상승이 본격화한 올해 6월 이후 현재까지 총 9조4천707억원을 순매수한 것으로 23일 금융투자업계와 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에 집계됐다.
외국인 투자자의 같은 기간 순매수액(19조8천447억원)의 절반(47.7%)에 육박하는 금액이다. 지난달에는 3조6천960억원을 순매수해 올해 들어 최대 순매수를 기록하기도 했다.
반면 이 기간 국내 기관 전체 순매수액은 1조7천860억원에 불과했다. 연기금이 1조3천320억원을 순매도하는 등 금융투자를 제외한 주체 모두가 매도 우위를 보였다.
이같은 현상의 주요 배경으로 지수상장펀드(ETF) 등을 통한 개인 자금 유입 증가가 꼽힌다.
이경수 하나증권 연구원은 "최근 개인들은 지수나 테마를 추종하는 ETF 위주의 투자가 일반적인 만큼 금융투자 수급 역시 개인 수급이 포함된 셈"이라면서 "대부분의 금융투자 수급은 개인들의 ETF 매수 영향으로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금융투자의 코스피 상승 기여도는 꾸준히 우상향 곡선을 그리고 있는 모습"이라면서 정부의 부동산 규제 정책 등의 영향으로 "국내 주식으로의 머니 무브(자금 이동)가 더욱 폭증하고 있다"고 짚었다.
실제 증시 대기자금인 투자자예탁금과 국내 펀드 설정액은 연일 치솟고 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투자자예탁금은 21일 기준 80조3천298억원으로 전월 말 대비 5.08% 증가해 역대 최고 수준이다. 주식형 펀드 설정액도 같은 기간 169조6천543억원에서 182조2천398억원으로 7.4% 껑충 뛰었다.
반대로 유가증권시장에서 개별 종목을 직접 매매하는 개인투자자들은 순매도를 통해 차익을 실현 중이다.
개인은 6월 이후 현재까지 유가증권시장에서 25조7천997억원을 순매도했다. 지난 9월에만 10조4천858억원 매도 우위를 기록했다.
이는 국내 주식시장에 대한 개미들의 불신이 배경으로 꼽힌다. 상승 지속력이 약할 것으로 봐 자칫 고점에 진입했다가 주가가 하락 할 수 있다고 여기는 것이다.
실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지난 6월 초 이후 각각 73.6%와 132.0% 올랐지만 개인은 각각 16조2천190억원과 9천370억원씩을 순매도했다. 상승장에도 섣불리 진입하지 않고, 단기 급등에 따른 차익실현 욕구도 높다.
이 연구원은 "특정 종목이 아닌 정부의 주식 활성화 및 배당 상향 정책에 대한 기대감에 관련 지수 및 배당 ETF를 주로 이용한 것이 이러한 차이로 이어졌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