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진 의원 "양식조업 아닌 군사적 활용 소지"
서해 한중 잠정조치수역에 설치된 중국 해상 구조물에서 중국 측 인력이 확인됨에 따라 한국 정부의 비례 대응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병진(평택을) 의원은 22일 해양경찰청 국정감사에 앞서 배포한 자료를 통해 중국 서해 구조물의 최근 사진을 공개하고 이같이 밝혔다.
사진에는 작년에 설치된 중국 양식장 선란 2호의 구조물 상단에 2명, 중앙 좌측에 2명, 해수면과 맞닿은 계단에 1명 등 5명의 인력이 확인된다고 이 의원은 전했다. 특히 가장 아래 위치한 인원은 잠수복을 착용한 채 산소통을 정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이 의원은 덧붙였다.
통상 해상 양식장에서는 잠수복과 산소통을 사용하는 경우가 드물고, 소수 인원만 탑승하는 고속정으로 보이는 배도 관측되는 등 일반적인 양식 조업으로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 이 의원의 주장이다.
그는 남중국해 사례를 들며, 구조물이 군사적 목적으로 활용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지난 1·2차 추경에서 중국 서해 불법 구조물 비례 대응 예산을 각각 10억원(연구용역비), 605억원(비례 대응 구조물 설치 비용 등)을 건의했고, 이 예산안이 국회 농해수위에서 의결됐지만 예결위 심의에서 모두 삭감됐다고 덧붙였다.
그는 선란 2호에 사람이 상주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해양 주권 수호를 위해 적극적인 비례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