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부동산 겨냥 "투기 수요 철저히 억제"

유오성 기자
입력
수정 2025.10.21. 오후 5:36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앵커]
이상경 국토교통부 차관이 "집값이 안정되면 그때 집을 사면 된다"고 말한 것을 두고 여야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부동산 시장을 겨냥해 "비생산적 투기 수요를 철저히 억제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대통령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유오성 기자, 이 대통령이 부동산 문제를 직접 언급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입니까?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오늘 국무회의에서 "가용한 정책수단과 역량을 집중해서 비생산적 투기수요를 억제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그래야만 합리적이고 지속 가능한 투자 문화가 정착되고, 이를 바탕으로 경제, 산업과 국민 자산의 동반 성장이 실현될 수 있다"고 했습니다.

또 코스피가 3800을 넘어선데 대해선 "비생산적인 것에 집중했던 과거의 투자방식에서 벗어나 국민들의 자산 증식 과정이 다양화·건실화되는 과정"이라고 강조했습니다.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실수요자의 내집 마련 꿈이 짓밟혔다는 야당의 비판이 이어지자 에둘러 반박하는 동시에 정면돌파를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 대통령 발언 들어보시죠.

[이재명 대통령 : 비생산 분야에 집중된 과거 투자 방식에서 벗어나 국민 자산 증식 수단이 차츰 다양화, 건실화되는 과정입니다. 생산적 금융으로 전환 추세가 뿌리내리려면 일관되고 실효성있는 정책 통해 우리 사회 인식을 바꿔야 겠습니다.]

[앵커]
부동산 대책을 총괄하는 국토부 고위 당국자가 한 유튜브 채널에 나와 말한 발언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야당에서는 공세 수위를 높였고, 당정은 뒤늦게 민심 달래기에 나선 모습이네요.

[기자]
이상경 국토교통부 차관이 한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집값이 안정되면 그때 집을 사면 된다"고 말한 뒤 논란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서민의 현실과 동떨어진 발언이라는 비판이 커지고, 배우자 명의로 사들인 아파트와 관련한 갭투자 의혹까지 불거지면서 내로남불이라는 비난이 이어지는 상황입니다.

국민의힘은 "국민의 대출은 다 틀어막고 이런 말을 하는 건 책임 있는 정부 당국자가 아니다"라고 비판 수위를 높였습니다.

또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을 정면으로 겨냥해 ‘부동산 정책 정상화 특별위원회’를 꾸리고 정책 대안 마련에 나섰습니다.

부동산 고강도 규제 이후 민심 이반 우려가 커지자, 민주당도 부동산 이슈 대응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논란이 거센 보유세 강화 전망에는 선을 긋는 한편, '주택 시장 안정화 TF'를 출범시켜 부동산 대책 보완 입법과 공급 대책을 논의하기로 했습니다.

지금까지 대통령실에서 한국경제TV 유오성입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