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00 향한 코스피…외국인 15조 폭풍매수
자세한 이야기 증권부 정재홍 기자와 나눠봅니다. 정 기자, 우리 시장에 외국인 자금이 물밀듯이 들어오고 있는데, 이제부터 시작이라고요?
<기자> 네. 외국인들은 오늘도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서만 1조 7천억 원을 순매수하며 7거래일 연속 순매수세를 이어갔습니다. 지난주 이재명 대통령 기자회견 이후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대주주 양도소득세 기준 50억 원 유지 기조를 밝히면서 외국인 유입세기 지속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같은 대형 반도체주를 비롯해 방산 기업을 집중 매수하고 있습니다. 이달 들어 외국인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각각 2조 3천억 원, 1조 7천억 원 가량 순매수했습니다. 여기에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현대로템이 뒤를 잇고 있습니다.
증권가에서는 증시 랠리로 외국인 자금 유입이 이제부터 본격화될 거라고 말합니다. 코스피가 지지부진했던 지난해 8월부터 올해 4월까지 외인 자금은 썰물 빠지듯 한국 증시를 탈출했습니다. 이 기간 외국인의 코스피 순매도 금액은 39조 원에 달하는데요.
새정부 출범 기대로 증시 반등이 시작된 지난 5월부터 지금까지 코스피에 유입된 외국인 자금은 아직 15조 원 정도입니다. 따라서 빠져나간 만큼만 들어오더라도 코스피 상승 여지가 충분히 남아있다는 분석인 겁니다.
<앵커> 정책에 대한 기대도 있지만 실제 기업들의 펀더멘탈에 대한 전망도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요?
<기자> 맞습니다. 꺼질 듯 꺼지지 않는 미국발 AI 훈풍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최근 뱅크오브아메리카(BOA)가 자료를 하나 냈는데요. 지난 6월 미국내 데이터센터 건설 지출액은 400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30% 증가해 사상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딥시크 쇼크가 있던 올초 예상과는 다르게 빅테크의 AI 인프라 투자 증대가 지속되고 있는 겁니다. 오픈AI가 오라클과 우리돈 416조 원에 달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계약을 맺은 것도 AI의 폭발적 수요가 여전함을 보여주죠. AI 자립을 꿈꾸는 중국의 추격이 더해지면서 아직도 AI 투자는 정점에 이르지 못했다는 평가입니다.
이는 단연 AI 반도체를 만드는 우리 기업들에게 청신호인데요. D램과 낸드 등 메모리 업황이 안정세를 찾아가는 가운데 AI 투자 증대로 인한 그래픽 D램(GDDR)과 HBM 수요도 꾸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SK하이닉스가 HBM4 양산체제 구축을 알렸잖아요. 올해 하반기부터 SK하이닉스를 비롯해 삼성전자, 마이크론의 HBM4 경쟁이 본격화됩니다. 기술 경쟁력에 따라 공급 우위가 정해지겠지만 전반적인 HBM 공급은 확대가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는 2분기 4천억 원에 불과했던 반도체 영업이익이 조 단위로 턴어라운드합니다. SK하이닉스는 2분기에 이어 3분기 역대 최대 실적을 쓸텐데요. 시장에서 예상하는 영업이익은 11조 원 가량입니다. 이런 기대에 힘입어 삼성전자는 1년1개월만에 8만전자 복귀를 타진하고 있고, SK하이닉스는 34만8천원에 장을 마감해 최고가를 기록했습니다.
<앵커> 코스피 랠리가 계속됨에도 개인들은 코스피 하락에 대거 베팅하고 있다는 소식도 들립니다. 단기 조정에 대한 불확실성도 공존하는 상황인거죠?
<기자> 네. 외국인과 정반대로 개인은 11거래일 연속 순매도세를 이어가는 중입니다. 개인이 쏟아내는 물량을 외국인이 받아낸다고 봐도 될 거 같은데요. 개인은 오늘도 1조 7,600억 원을 순매도했습니다.
우리가 흔히 '곱버스'라고 하죠. 코스피 200 지수의 일일 하락률을 두 배로 추종하는 KODEX 200선물인버스2X ETF에 개인들의 자금이 몰려 지난 일주일간 전체 ETF 순자급유입액 2위를 기록했습니다.
지난 일주일간 외국인은 1,138억 원을 순매도한 반면 개인은 3,150억 원을 순매수했습니다. 위험분산 측면에서의 역할도 있으나 개인들이 가지고 있는 증시 우상향에 대한 불확실성이 반영된 결과로 보여집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우리시간으로 18일 새벽 3시 FOMC 회의를 열고, 금리 인하 여부를 결정합니다. 일부 빅컷 전망도 나오나 25bp 인하 가능성이 가장 크게 점쳐집니다. 금리 인하 기대 덕분에 글로벌 증시가 크게 오른 만큼 막상 결과가 나왔을 때 시장 반응이 어떻게 될지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
단, 낙관적으로 보는 입장에선 현재 우리 증시를 둘러싼 환경이 불리하지 않다고 말합니다. 미국의 금리인하와 이로 인한 달러 약세로 당분간 미국 이외 자산 수요가 높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프랑스의 신용등급 강등 등 유럽의 부채 위기가 심화되고 있잖아요. 따라서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증시에 글로벌 자금이 유입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입니다. 현재 주요 아시아 증시에서 코스피 지수는 수익률 1위를 보이고 있습니다.
<앵커> 네. 잘 들었습니다.
Copyright ⓒ 한국경제TV.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기자 프로필
한국경제TV 주요뉴스해당 언론사에서 선정하며 언론사(아웃링크)로 이동합니다.
3
한국경제TV 헤드라인
더보기
한국경제TV 랭킹 뉴스
오전 7시~8시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
더보기
함께 볼만한 뉴스
5
이슈 NOW
언론사에서 직접 선별한 이슈입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