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법의 단어 NFT…혁신인가 도박인가 [쓰리고]

전효성 기자
입력
수정 2022.01.07. 오후 5:16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한국경제TV 특별취재팀 '쓰리고' 1화 예고
7일 저녁 7시 30분, 한국경제TV 채널과 유튜브에서 방영
<앵커>

대체불가토큰, NFT는 최근 투자 시장의 핵심 키워드로 떠올랐습니다.

`제2의 비트코인`이라는 장밋빛 전망과 함께 투자금도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는데, 여전히 `거품 자산`이라는 지적도 적지 않습니다.

NFT 실체를 둘러싼 논란, 한국경제TV가 자세히 알아봅니다. 전효성 기자입니다.

<기자>

유명 래퍼 마미손 씨가 NFT로 제작해 판매한 작품(수플렉스 더 트로피)입니다.

경매에서 6,100만원에 낙찰됐는데 제작 원가 대비 수십 배의 수익을 거둔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NFT 작품은 인터넷에서 누구나 볼 수 있지만, 여기에는 소유자의 정보와 거래 가격 등이 기록돼 있습니다.

디지털 파일에 대한 권리 증명서인 NFT 기술이 적용된 겁니다.

[마미손 / 래퍼: 일련의 사건들이 있었고 그걸 기념했다, 그리고 이걸 NFT화 했을 때 이 전체를 아우르는 어떤 행위 예술 작품인 거죠.]

최근 수년간 디지털 자산과 블록체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NFT 시장은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NFT 자체 거래량이 급증하는 건 물론, 관련 사업을 시작한다는 소식만 전해져도 회사의 주가는 치솟습니다.

디지털 자산에 소유권을 부여해 사고파는 NFT, 과연 재화로서의 가치를 지닐까.

한국경제TV 특별취재팀 `쓰리고`가 만난 사람들은 NFT에 대한 엇갈린 반응을 전했습니다.

먼저, 자산 가치가 없었던 디지털 상품이 자산으로서의 가치를 부여받은 건 혁신적이라는 주장입니다.

[성소라 / 전 워싱턴대 경영대학 교수: (NFT가) 정말 기반 기술로써 이때까지는 자산화를 할 수 없었던 디지털 상품에 대해서 희소성과 원본의 가치를 부여해 주면서 많은 창작자들에게 힘을 줄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각광을 받고 있다고 생각하고…]

반면, 현재의 NFT 시장에 거품이 끼어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실존 가치와는 무관한, 과도한 투기성에 매몰돼 있다는 겁니다.

[김승주 /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예를 들어 명품이 있는데 그 명품이 한 5백만원 해요. 그런데 NFT가 붙었다고 해서 그게 5억이 될 수는 없잖아요.]

이와 함께 취재진은 NFT 미술 사업을 추진한다는 말에 현혹돼 막대한 투자 손실을 본 가상화폐 투자자도 만나볼 수 있었습니다.

[A씨 / 가상화폐 투자 피해자: (코인 가격이) 500원 정도일 때 2억원 정도 태웠는데, 최저점에서는 20분의 1까지 떨어진 거고요, 2억원에서 1천만원도 안되는 시점도 있었고…]

희소성을 앞세워 투자 시장의 마법의 단어로 자리잡은 NFT.

NFT에 대한 모든 것은 오늘(7일) 저녁 7시 30분 한국경제TV 채널과 유튜브에서 함께할 수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전효성입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