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모아 집사라"던 국토차관‥본인은 '갭투자'

이준희 기자
입력
수정 2025.10.22. 오전 1:20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뉴스25]
◀ 앵커 ▶

돈을 모았다가 집값이 안정되면 그때 가서 집을 사면 된다.

국토교통부 이상경 1차관이 최근 인터뷰에서 한 말인데요.

그런데, 이 차관의 배우자가 작년에 판교의 30억원 대 아파트를 전세를 끼고 구입해 '갭투자'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이준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경기 성남시 백현동의 아파트.

작년 7월 국토교통부 이상경 1차관의 배우자는 이 아파트 전용 117㎡를 33억 5천만 원에 샀습니다.

그리고 석 달 뒤, 14억 8천만 원에 전세 계약을 체결합니다.

결국 실투자금 18억 7천만 원으로 소유권을 넘겨받은 겁니다.

현재 시세는 40억 원에 달합니다.

[경기도 성남시 백현동 부동산 중개업소 (음성변조)]
"여기가 사실 대장 단지니까. 동판교 내에서도 대장이고 판교 전체적으로도 대장이죠."

그런데 이 차관 부부는 기존에 보유하며 살던 성남시 고등동의 아파트를 현 정부 출범 직후인 올해 6월에 팔았습니다.

그리고 매수인과는 전세계약을 맺어 이 차관 부부는 세입자로 계속 살고 있습니다.

새로 산 아파트와 판 아파트 모두 전세를 끼고 이른바 '갭투자'를 한 셈입니다.

갭투자는 비정상적인 부동산 가격 상승의 대표적인 원인으로 지목돼 왔습니다.

정부의 10·15 대책도 갭투자를 차단하는데 초점이 맞춰졌고, 이 차관은 최근 인터뷰에서 돈을 모아 집을 사면 된다고 말하기까지 했습니다.

[이상경 / 국토교통부 1차관(지난 19일, 유튜브 '부읽남TV')]
"지금 사려고 하니까 그런 스트레스를 받는데, (집값이) 만약에 오르지 않고 유지가 되면 내 소득이 또 계속 또 벌게 되면 그 돈이 또 쌓이면 또 그때 가서 사면 되거든요."

이 차관은 고등동 아파트가 팔리지 않아 어쩔 수 없이 전세계약을 체결한 거라고 설명했지만, 부부 합산 예금 등 28억 원의 현금 재산을 신고한 이 차관이, 왜 전세를 끼고 매매를 한 건지 의문이 풀리지 않습니다.

국토부는 이상경 차관의 경우 통상적인 갭투자와는 다르다고 해명했지만, 여론은 싸늘합니다.

이 차관은 공개 일정을 취소했습니다.

MBC뉴스 이준희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