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오병훈기자] KT는 국토교통부로부터 도심항공교통(UAM) 실증사업자 자격을 획득했다고 22일 밝혔다.
KT는 지난해 전남 고흥에서 진행된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그랜드챌린지 1단계 실증을 수행했다. 통합운용성과 비행 안전성 및 관제 시스템 연동 등 주요 기술 요소를 검증했다. 이외에도 UAM 특별법에서 요구하는 장비와 인력 기준도 모두 충족했다.
KT는 국내 UAM 상용화 추진을 위한 핵심 주체로 도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도심항공교통법상 실증사업자 지위를 획득한 기관은 실증 성과에 따라 우선적으로 UAM 사업자로 지정될 수 있다.
KT는 이달 말부터 인천 계양에서 청라까지 이어지는 아라뱃길 구간에서 K-UAM 그랜드챌린지 2단계 실증을 시행한다. 이번 실증에는 현대자동차·현대건설·인천국제공항공사·대한항공이 K-UAM 원팀으로 함께 참여한다. 도심 환경에서 5세대이동통신(5G) 항공망을 기반으로 한 UAM 통합 운용 점검을 실시한다. 다양한 비정상 운항 상황에서 통합 대응 능력을 검증한다.
이를 위해 통신 장애 등 실제 운항 중 발생 가능한 돌발 상황을 가정한 UAM 교통관리체계를 시험한다. 기존 음성 기반 비행 허가 절차를 자동화된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전환해 고밀도 운항 환경에 적합한 디지털 운용 체계도 실증한다.
KT는 돌발 상황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력 확보를 위해 한국형 UAM 운용 개념과 전기수직이착륙기(e-VTOL) 비행체 역학 모델을 반영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통신 두절 등 다양한 상황을 가상 환경에 재현했다. 기체와 교통관리체계 간 연동 대응 절차를 사전에 점검하는데 활용한다.
이외에도 KT는 5G 항공망 기반 초정밀측위기술(RTK-GNSS)을 기존 항공교통감시체계(ADS-B 및 MLAT) 기술과 연계해 비협력 비행체 감시·GPS 두절 상황 때 감시 등 교통감시 체계를 검증한다.
UAM 운항에 필요한 감시정보·기상·비행계획 등 실시간 데이터를 UAM 관계 기관과 공유하는 통합 정보 교환체계도 함께 실증한다. 향후 UAM 상용화 초기 시점부터 안전하고 효율적인 교통관리 시스템 구축에 기여한다.
원만호 KT 기술혁신부문 본부장(상무)은 “KT는 국토부의 실증사업자 자격을 획득하며 국내 UAM 상용화를 위한 기반을 확보했다”며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 시스템과 기술을 고도화해 신성장 동력 창출에 이바지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