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 행정안전부는 20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관련 브리핑에서 “12시 기준 전체 709개 시스템 중 375개(52.9%)가 복구 완료됐다”고 밝혔다. 나머지 334개 시스템은 복구 작업이 진행 중이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은 “1등급 핵심 시스템 40개 중 31개, 2등급 68개 중 44개가 복구돼 운영 중”이라며 “복지부의 장기·조직·혈액 통합관리시스템은 10월17일부터 정상 운영되고, ‘e하늘 장사정보시스템’은 10월21일부터 온라인 화장장 예약 신청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현재 복구 중인 1·2등급 33개 시스템은 대체 사이트, 임시 홈페이지, 수기 접수 등 대체 수단으로 운영되고 있다. 국민신문고는 지자체별 ‘새올 전자민원창구’를 통해 온라인 민원을 처리 중이며, 230개 지자체가 온라인 상담 창구를 운영 중이다. 나머지 6개 지자체는 이번 주 초 서비스를 개시하고, 9개 지자체는 수기 방식으로 민원을 처리한다.
정부는 이번 주 대전센터에서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국가보훈부 통합보훈정보시스템 등 86개 시스템 추가 복구를 목표로 한다. 대전센터의 스토리지 복구는 공주센터 백업 데이터 복구와 병행해 추진된다.
또한 대구센터에는 복지부 보건의료인 행정처분시스템, 소방청 소방예방정보시스템 등 16개 시스템이 민간 클라우드로 이전된다. 행안부는 지난 17일 복지부·소방청 등 4개 부처 및 클라우드사업자와 협의회를 열고 이전 일정과 협조 사항을 논의했다. 이용석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AI 정부 인프라 거버넌스 혁신 TF가 재해 복구 체계와 인프라 안전 설계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김민재 차장은 “복구 예산은 예비비를 통해 추진하며, 관련 안건을 긴급 국무회의에 상정할 예정”이라며 “시스템 복구와 데이터 안전 확보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