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공장로봇 관세' 검토…美차업계 "소비자부담 가중" 반발

한우진 기자 TALK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미 상무부에 반대의견서 제출…'원가급등·공급차질' 경고
◆…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에 위치한 제너럴모터스(GM) 본사 건물 외벽에 새롭게 교체된 GM 로고가 걸려 있다. 사진=로이터 제공


미국 완성차 업계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공장용 로봇·산업기계 신규 관세 부과 방침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23일(현지시각) 미국 자동차 업계를 대표하는 자동차혁신연합(AAI)은 미 상무부에 "트럼프 행정부가 공장 로봇과 산업기계를 대상으로 새로운 관세 부과를 검토하고 있다"며 이를 막아달라는 내용의 공식 의견서를 제출했다. 미 행정부는 지난달 상무부의 국가안보조사 이후 이 같은 움직임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AAI에는 제너럴모터스(GM), 도요타, 폭스바겐, 현대자동차 등 전 세계 주요 완성차 기업 대부분이 소속돼 있다.

연합은 성명에서 "기존 생산시설 설비 비용이 상승하면 제조원가가 높아지고 생산 지연과 공급 부족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이미 신차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 중인 상황에서 소비자 부담이 한층 가중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 "관세가 불가피하다면 최소한 미국 내 생산공정에 사용되는 로봇은 면세 대상에 포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업계가 인용한 보고서에 의하면 지난해 기준 미국 로봇·산업기계 설치의 약 40%가 자동차 생산라인에 집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AI에 속하지 않은 테슬라도 별도 의견서를 통해 "관세 부과는 신규 공장 투자와 기존 설비 업그레이드를 지연시켜 미국 내 제조 경쟁력을 약화시킬 것"이라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소매유통 업계를 대표하는 전미소매연맹(NRF)은 "로봇은 매장과 물류센터의 자동화 핵심 설비"라며 "관세와 공급 차질이 유통망 비용과 소비자 물가를 끌어올릴 것"이라고 지적했다.

미국 상공회의소(U.S. Chamber of Commerce)는 "극자외선(EUV) 리소그래피 장비처럼 일부 핵심 산업설비는 해외에서만 생산된다"며 "관세는 오히려 정부가 추진 중인 국내 반도체 제조 역량 강화 정책을 역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번 관세 추진을 둘러싸고 중국, 캐나다, 일본, 스위스, 유럽연합(EU) 등 주요 교역국도 반대 의견서를 잇따라 제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행정부는 아직 이에 대해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세계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