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암파’ 해경 간부 안성식 “적법 계엄인 줄 알았다”

남정률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계엄 직후 총기 불출·유치장 확보 언급
與의원들, 계엄 모의·선포 예상 추궁
“같은 상황이면 지금도 똑같이 행동”
◆…22일 인천 연수구 해양경찰청에서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의 국정감사가 진행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내란 부화수행 혐의를 받는 안성식 전 해양경찰청 기획조정관이 22일 인천 해양경찰청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여당 의원들로부터 계엄 선포 직후 총기 불출과 유치장 확보 필요성 언급과 관련해 집중 추궁을 받았다.

안 전 조정관은 윤석열 전 대통령,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과 함께 충암고 동문으로 2022년 3월 본청 형사과장 재직 당시 해경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파견됐다가 이후 초고속 승진했다.

이원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안 전 조정관이 계엄 선포 직후 '비상사태를 대비해 총기를 불출하라', '계엄사범이 많이 잡혀올 거 같으니 유치장을 비우라'고 말했는데 계엄에 대한 사전 모의 없이 가능하냐"고 질타했다.

같은 당 임미애 의원도 "특검팀은 안 전 조정관이 국군방첩사령부와 기밀 문건을 주고받으며 '계엄사령부 편성 계획' 개정에 관여한 정황이 있다고 했다"면서 "계엄이 언젠가 선포될 것이라 예상하고 해경의 행동 지침을 이해한 것 아닌가"라고 따졌다.

증인으로 출석한 안 전 조정관은 여 전 사령관과 3회 만난 것은 시인하면서도 "계엄과 관련한 논의는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

안 전 조정관은 ""계엄 당일 윤 대통령이 TV를 통해 계엄을 선포했기 때문에 국무회의 등 적법한 절차를 거쳤을 거라 봤다"며 "공무원으로서 우리 청에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 생각하는 게 도리이고, (같은 상황이 발생한다면) 지금 이 순간에도 똑같이 행동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윤준병 민주당 의원은 안 전 조정관의 이같은 발언에 대해 "비상계엄이 잘못된 것이라 판단해 명령을 거부한 지휘관도 많다"면서 "명령이라도 국민에게 위해를 가하는 명령이라면 거부했어야 한다"고 질책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
댓글

조세일보 댓글 정책에 따라 조세일보에서 제공하는 정치섹션 기사의 본문 하단에는 댓글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