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특검, '계엄해제 방해의혹' 추경호 소환통보..."다른 의원 공범 가능성도 조사"

이성휘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국회 표결방해' 피의자 신분...내란 중요임무 종사·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

秋, 국정감사 마치고 특검 조사 응할 듯...이르면 이달 말 전망

특검 "혐의 관련 조사 상당수 이뤄져...국힘 의원 공범 가능성도 조사"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와 유상범 원내수석부대표, 추경호 의원이 9월 26일 국회 본회의에서 정부조직법 수정안에 대한 국민의힘 박수민 의원의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을 위한 합법적인 의사진행 방해)를 지켜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12·3 비상계엄 사태 관련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국회 계엄해제 표결 방해 의혹'을 받고 있는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에게 피의자 신분 출석 조사를 통보했다. 특검팀은 다른 국민의힘 의원들의 공범 가능성도 조사하고 있다.

박지영 특검보는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특검은 추 전 원내대표에 대해 출석을 요구한 사실 있고, 추 전 원내대표가 국회 일정을 고려해 일시 관련 의견을 제시해 온 상태"라고 밝혔다. 이어 "특검은 추 전 원내대표의 의견 등을 검토한 후에 구체적인 소환 일정을 확정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추 전 원내대표의 혐의에 대해 "구체적인 피의 사실에 대해서는 공개해 드릴 수 없다"면서도 "내란 주요임무 종사와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라고 소개했다.

추 의원 측은 국회 국정감사 일정이 끝나면 조사에 응하겠다는 입장으로 알려졌다. 추 의원이 소속된 국회 정무위원회 종합감사는 오는 28일 종료된다.

특검팀은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당시 원내대표였던 추 의원이 윤석열 전 대통령과 한덕수 전 국무총리 등의 요청을 받고 의원총회 장소를 여러 차례 변경하는 방식으로 다른 의원들의 계엄 해제 표결 참여를 방해했다는 의혹을 수사 중이다.

특검팀은 추 의원이 계엄 선포 직후인 밤 11시쯤 홍철호 전 대통령실 정무수석과 통화한 뒤, 11시 11분 한 전 총리, 11시 22분 윤 전 대통령과 잇따라 통화한 사실을 파악했다.

당일 추 의원은 비상의총을 소집하면서 장소를 국회->여의도 당사->국회 예결위원회 회의장->여의도 당사로 변경했고, 결과적으로 다수 국민의힘 의원들이 계엄 해제 의결에 참여하지 못했다.

계엄 해제 요구안 표결 본회의는 4일 오전 12시 47분 개의됐고, 안건은 300명 중 190명이 참여해 전원 찬성으로 가결됐다. 당시 108명 국민의힘 의원 중 18명만 표결에 참여할 수 있었다.

공교롭게도 추 의원 등 일부 의원들이 국회 본청 원내대표실에 있었지만, 이들 모두 계엄 해제 본회의에는 불참했다. 현재 국민의힘 지도부인 송언석 원내대표와 신동욱 최고위원, 조지연·김대식·김희정·임이자·정희용 의원 등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추 의원 자택과 사무실, 차량, 국민의힘 원내대표실 등을 압수수색했다. 당시 원내대표실에서 근무한 당직자 등에 대한 조사도 진행했다.

박 특검보는 "추 전 원내대표의 혐의 유무를 판단함에 있어 중요한 분들에 대한 조사가 상당수 이뤄졌다"며 "조사 내용 중 상당히 참고할 만한 내용이 있고, 사실관계 판단에 있어 필요한 조사는 어느 정도 된 상태"라고 소개했다.

그는 다른 국민의힘 의원들이 피의자로 전환될 가능성에 대해 "무한히 피의자를 확대해야 하는 건 아니다"면서도 "정말 공범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 위주로 피의자 조사를 진행하는 것은 가능한 상황"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누구라고 특정하긴 어렵지만 공범 가능성을 아주 배제하고 있진 않다"며 "그 부분도 같이 조사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추 의원은 기자간담회 등에서 "더불어민주당이 표결 방해라는 날조된 프레임을 짜고 특검에 억지로 꿰맞추기 수사를 주문하고 있다"며 자신을 둘러싼 의혹이 '새빨간 거짓말'이라는 입장이다.

그는 윤 전 대통령과의 당시 통화에 대해 "(계엄 선포) 담화 내용을 설명하고 여당 원내대표에게 (미리) 말하지 못해서 미안하다는 취지의 얘기였다"고 설명했다.

또 의총 장소가 국회에서 당사로 바뀐 것은 "당시 (한동훈) 당 대표가 최고위원회의 장소를 당사로 변경한 데 따른 불가피한 후속 조치였다"며 한 전 대표 측에 책임을 돌렸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
댓글

조세일보 댓글 정책에 따라 조세일보에서 제공하는 정치섹션 기사의 본문 하단에는 댓글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