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구 "가상자산 환치기 대응 위해 인력확충·조직 신설 검토" [관세청 국감]

임도영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21일 국회에서 열린 관세청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김영환 의원이 질의하고 있다(국회방송 캡처).


가상자산을 이용한 환치기 수법이 지능화되고 있는데 수사 인력 등 수사역량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이명구 관세청장은 "서울세관에 가상자산 분석 전담조직 신설을 검토하고 분석 역량을 확충하겠다"고 답했다.

21일 국회에서 열린 관세청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김영환 의원은 "외환사범 중 환치기가 금액 기준으로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며 "특히 최근에는 가상자산을 이용한 환치기가 급증하고 있다. 신원 확인이 어려운 메타마스크 같은 비수탁형 지갑이나 '토네이도 캐시'처럼 거래 추적을 차단하는 기술이 활용되면서 수법이 지능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가상자산을 활용한 환치기 사례(김영환 의원 국정감사 자료 발췌).


이어 "가상자산을 매개로 한 불법 외환 거래는 단일 사건당 금액도 수천억 원대에 이른다"며 "이처럼 대형 환치기가 늘고 있는데도 서울세관 내 불법 외환거래 정보분석 전담팀이 3명에 불과하다. 이 인력으로 급증하는 범죄를 따라잡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이명구 관세청장은 "기존에는 외화를 직접 반출입하는 환치기가 중심이었지만, 최근에는 가상자산을 통한 불법 환치기로 수법이 진화하고 있다"며 "서울세관 내에 가상자산 분석 전담조직 신설을 검토 중이며, 전담인력을 확충하고 분석 역량을 고도화하겠다"고 밝혔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