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현재 진행 중인 '한·미 관세 협상'에서 한국의 대미 투자와 관련해 미국이 현재 전액 현금 투자를 요구하는 상황은 아니라고 밝혔다.
김 장관은 20일 오후 미국 방문을 마치고 인천공항을 통해 귀국하며 기자들과 만나 '미국이 현재 여전히 전액 현금 투자를 요구하는지'라는 취지의 질의를 받고 "거기까지는 아니다"라고 답했다.
김 장관은 "지금 거기까지 갔으면 이미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을 텐데, 그런 부분에 대해서 상당 부분 미국 측에서 우리 측의 의견들을 받아들인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앞서 미국 측에서는 7월 말 관세 합의를 두고 한국이 3500억 달러를 전액 현금으로 미국에 투자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왔다. 이에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9월 보도된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3500억 달러를 전액 현금으로 투자한다면 한국은 1997년 금융위기 같은 상황에 직면할 것"이라며 난색을 표했다.
전날 먼저 귀국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귀국길 인터뷰에서 '한국이 감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미국과 협의하고 있다'고 발언한 것과 관련해, 김 장관은 "그 가능한 범위 내를 찾기 위해 마지막 움직임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아울러 "한국의 외환시장에 부담을 주는 선에서 해서는 안 되겠다는 공감대가 있어 그것을 바탕으로 이번 협의가 준비될 수 있었다"고도 밝혔다.
김 장관은 "(미국과는) 외환시장 관련된 부분이 가장 큰 차이였는데, 그런 부분들에 대해 상당히 양측의 공감대가 있었기 때문에 세부 내용들이 이를 바탕으로 여러 가지 쟁점들이 합의점을 이룰 수 있었다"고 부연했다.
앞서 정부는 한국 외화보유액의 85%에 달하는 3500억 달러를 미국에 투자하면 외환시장에 미칠 충격이 크다며, 무제한 통화스와프를 관세 협상 타결의 필요조건으로 제시해 왔다.
다만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지난 16일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무제한 통화스와프를 (미국) 재무부에 제안한 바 있고 진전이 없다"고 밝혔는데, 한국의 외환시장 문제와 관련해 통화스와프가 아닌 다른 해법이 나올 가능성도 거론된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오는 29일부터 1박2일간 방한해 머물 예정이다. 또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이튿날 방한하면서 미·중 정상회담이 한국에서 성사될 가능성이 점쳐지는 가운데, 미국과 한국의 관세 협상 타결 시점에도 눈길이 모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