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부 대동맥류 환자가 지난 13년간 3배 이상 늘었다는 대규모 분석 결과가 나왔다.
20일 강동경희대병원 혈관외과 조성신 교수팀은 2010년부터 2022년까지 전국 단위 데이터를 분석해 스텐트 시술(EVAR) 확대가 일부 환자 생존율 향상에 기여했을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복부 대동맥류는 복부의 주요 혈관인 대동맥이 약해져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질환으로 파열 시 대량 출혈로 생명을 잃을 수 있다. 흡연, 고혈압, 고지혈증 등이 주요 원인으로 특히 고령 남성에게 많이 발생한다. 증상은 거의 없지만 복부 통증이나 박동감이 느껴질 경우 이미 진행된 상태인 경우가 많아 정기 검진이 중요하다.
연구에 따르면 국내 복부 대동맥류 환자는 2010년 약4000명에서 2022년 1만3000명으로 3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70대 이상 고령층에서 유병률이 높았고, 초고령사회 진입과 함께 환자 수는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치료는 개복수술(OAR)과 스텐트 시술(EVAR)로 나뉜다. EVAR은 절개 범위가 작고 회복이 빠른 장점이 있어 최근 시행 빈도가 크게 늘었다. 실제 연구 기간 동안 EVAR 시행 건수는 2.68배 증가해 2011년부터 개복수술을 앞질렀다. 비파열 대동맥류 환자의 사망률은 같은 기간 1.4%에서 0.7%로 감소했다.
반면 이미 혈관이 파열된 환자의 사망률은 35% 수준으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조성신 교수는 "스텐트 시술 확산이 생존율 개선에 기여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향후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흡연, 고혈압, 고지혈증 등 위험 요인을 줄이고 정기적인 초음파 검진을 받는 것이 조기 발견의 핵심이라고 조언한다. 이번 연구는 SCI(E) 국제학술지 'Journal of Clinical Medicine' 2025년 7월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