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금 60여명 전원 국내 송환 추진
현지 한국인 대상 범죄 전수조사
캄보디아에서 안전이 확인되지 않는 한국인이 80여명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된 가운데 정부가 '합동 대응팀'을 급파하기로 했다.
대통령실은 캄보디아의 한국인 대상 납치·감금 사태와 관련해 김진아 외교부 2차관을 단장으로 하는 '정부 합동 대응팀'을 15일 현지에 파견하기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대응팀에는 박성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장도 합류해 캄보디아 당국과 구금된 한국인 송환 계획을 협의하는 한편 한국인 대학생 고문 사망사건에 대한 공동 조사에도 나설 예정이다.
14일 외교부에 따르면 2024년부터 지난 8월까지 감금 피해 신고 550명 중 470명은 안전이 확인됐으나 나머지 80여명은 미확인 상태다.
이들에 대한 생사나 신변 안전 여부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는 의미다. 이들 중에는 감금·납치 피해자와 함께 의도적으로 연락을 끊은 이도 섞여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까지 취업사기에 의한 사망은 20대 대학생이 지난 8월 '박람회에 다녀오겠다'며 캄보디아에 갔다가 현지 범죄단체의 고문 끝에 숨진 사례가 유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과 별도로 현재 캄보디아 구치소에 피의자 신분으로 구금된 한국인은 60여명으로 확인됐다. 경찰은 "캄보디아 구금된 60여명을 한달 안에 전원 국내로 송환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경찰은 캄보디아 내 주요 범죄 지역에 대한 여행 경보 격상을 검토하는 한편 주캄보디아 대사관에도 경찰 협력관 2명을 추가 파견하기로 했다.
경찰은 또 국가수사본부 내에 '캄보디아 내 한국인 대상 범죄 종합대응단'을 운영키로 했다.
종합대응단은 캄보디아 납치·유인과 관련한 첩보를 최우선으로 수집하고, 현지로의 출국을 유도하는 온라인 게시물을 모니터링하기로 했다.
경찰은 캄보디아에서 발생하는 한국인 대상 범죄에 대한 전수조사에 나서, 외교부에만 신고하고 경찰에는 접수되지 않은 사건 255건을 모두 조사할 방침이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캄보디아 피해자들의 신속한 국내 송환에 총력을 기울일 것을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관계 부처는 캄보디아 정부와 협의를 통해 양국의 치안 당국간 상시 공조체제 구축에 속도를 내달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실종신고 확인 작업도 조속히 진행해야 한다"면서 "정부는 우리 국민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가용 가능한 방안을 최대한 즉시 실행해 달라"고 주문했다.
이 대통령은 또 국민들이 재외공관에 도움을 요청하면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 정비와 인력, 예산 편성에도 만전을 기할 것을 요청했다.
한편 국회 외교통일위원회는 오는 22일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에서 현장 국감을 진행하기로 했다.
외통위는 프놈펜 주캄보디아대사관에서 현장 국감을 열어 동남아시아 지역 한국인 대상 범죄 현황 등을 점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