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李대통령, '대장동 패밀리' 이상경과 국민 중 하나 선택해야"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가 이재명 대통령을 향해 "'대장동 패밀리' 이상경 씨(국토교통부 제1차관)와 상처받은 국민들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한동훈 전 대표는 23일 "'대장동 비리 사건에서 도움 받은 은혜'는 국토교통부 차관자리 말고 다른 걸로 갚으라"라고 지적했다.
앞서 이상경 국토1차관은 한 유튜브에 출연해 "지금 (집을) 사려고 하니까 스트레스를 받는 것"이라며 "돈 모아 집값이 안정되면 그때 사라"고 발언해 논란이 되자 대국민 사과문을 발표했다. 국민의힘을 비롯해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사퇴를 촉구했으나 이와 관련된 메시지는 내놓지 않았다.
한 전 대표는 "나는 어제부터 경기 남부에서 지내면서 지역 현장의 부동산중개업소들, 실수요 예비부부 등과 동행하면서 민심을 경청하고 있다"며 "10·15 주거재앙 조치로 이미 전세값이 오르고 전세물건이 씨가 마르고 있다. 이미 국민들은 상처받았고 주거재앙은 현실화되고 있다"고 질타했다.
이어 "그럼에도 불구하고 방금 전, 10·15 주거재앙 주도한 '대장동 패밀리' 이상경 국토부 1차관이 사퇴를 거부했다"며 "박지원 의원 등 민주당 의원들도 사퇴하라는데 버티는 이상경 씨는 국토부의 김현지, 백해룡이냐. 이상경 뒷배는 같은 대장동 패밀리 이 대통령"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이제 이 대통령이 국민들 거래 못하게 주거재앙 조치 주도해놓고 자기는 정반대로 부동산 거래한 '대장동 패밀리' 이상경 씨와 상처받은 국민들 중 선택해야 한다"며 "10·15 주거재앙 주도한 '대장동 패밀리' 이 씨를 사퇴시키고 , 그 계기로 10·15 주거재앙 철회하라. 아직도 늦지 않았다"고 했다.
▲명태균 "11월8일 특검서 오세훈과 대질신문…강혜경은 횡령범" [2025 국감]
명태균씨가 이른바 '여론조사비 대납 의혹'과 관련해 내달 8일 오세훈 서울시장과 특검에서 대질신문을 받는다.
명씨는 23일 오후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하기 위해 찾은 서울시청에서 기자들과 만나 "11월8일 검찰에서 오세훈 서울시장과 대질신문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오 시장이 이날 국정감사에서 '명태균은 거짓말에 굉장히 능한 사람'이라고 발언한 것에 대해 명씨는 "오세훈이 거짓말쟁이인지, 내가 거짓말쟁이인지 오늘 보면 알게 될 것"이라며 "특검 대질신문이 예정돼 있어 국감에서 다 말을 하면 오세훈 측에서 다 준비하고 올 것이다. 오늘은 오세훈이 언론에서 떠든 것에 대해 말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4월 명태균 게이트 진상조사단장인 서영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개한 문건에 대해서는 "조작된 것"이라며 "곧 검찰 조사를 통해 진실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서 의원이 공개한 문건은 홍준표 당시 대구시장이 조작된 여론조사를 통해 국민의힘에 복당했으며 이 여론조사 비용을 홍 전 시장 측이 대납했다는 내용이다.
명씨는 여론조사업체 미래한국연구소 부소장이자 명태균 게이트 폭로자인 강혜경씨를 "횡령범"이라고 했다. 그는 "강혜경은 공익제보자가 아닌 회사에 들어온 자금을 빼돌린 횡령범"이라며 "민주당이 주장하는 공익제보자와는 한참 거리가 멀다"고 강조했다.
▲집값·환율 불안에 3연속 금리 동결…"11월 금리 인하도 쉽지 않을 듯"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하며 또 한 번 '숨 고르기'에 나섰다. 경기 회복이 지연되면서 금리 인하 필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가계부채 부담과 부동산시장 불안 등 대내외 불확실성을 고려한 결정이다.
23일 한국은행 금통위는 서울 중구 본관에서 통화정책방향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했다.
지난 5월 금리를 0.25%포인트(p) 인하한 후 7월과 8월에 이어 이달까지 세차례 연속 동결이다. 신성환 금통위원은 기준금리를 2.25%로 인하해야 한다는 소수의견을 제시했다.
한은이 금리를 동결한 가장 큰 이유는 부동산 시장 불안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정부의 연이은 부동산 대책에도 서울 집값은 잡히지 않고 있으며, 수도권으로 상승세가 확산되는 모습이다.
특히, '10·15 부동산 대책'을 내놓은 직후 금리를 내릴 경우 '정책 엇박자' 논란이 예상되는 점도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