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22일(현지시간) 3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옵티머스 관련 구체적 개발 현황과 로드맵을 밝혔다.
머스크는 "옵티머스 3세대는 로봇처럼 보이지 않고, 마치 로봇 슈트를 입은 사람처럼 사실적일 것"이라고 강조하며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의 본격적인 전환점을 예고했다.
그는 "옵티머스는 사람보다 5배 이상 높은 생산성을 낼 수 있다. 24시간 작동하는 지능형 노동력으로서 인류 경제 구조를 바꿀 것"이라면서 "연간 100만대 생산 규모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휴머노이드를 '무한 돈 버는 글리치(결함)'이라고 표현하며, 장기적으로 1천만~1억대 규모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머스크는 옵티머스가 '회사 역사상 가장 큰 제품이 될 잠재력을 지닌 프로젝트'라고 평가하며 "이는 쉬운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자율주행차 개발 과정에서 축적된 '실세계 지능' 인공지능(AI) 기술을 옵티머스에 완전히 이식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팔로알토 엔지니어링 본사에서는 옵티머스 로봇들이 24시간, 주 7일 동안 걸으며 시험 중이다.
방문객이 로봇에게 "특정 장소로 안내해달라"고 요청할 수 있을 정도로 실환경 대응력이 향상된 것으로 전해졌다.
머스크는 옵티머스 개발 과정에서 가장 큰 기술적 병목이자 경쟁력 요소로 '로봇 손'을 꼽았다. "인간의 손처럼 정교하고 능숙한 손을 만드는 것이 가장 어려운 공학적 과제"라며 "손과 팔은 로봇 전체보다 더 복잡한 전기기계적 시스템"이라고 봤다.
로봇 손의 완성도가 인간 수준에 근접해야만 진정한 범용 로봇으로서의 생산성과 응용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머스크는 또한 대규모 양산을 위한 공급망 부재 문제를 지적했다. 그는 "휴머노이드 로봇용 공급망은 존재하지 않는다"며 "테슬라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직 통합 구조로 부품을 직접 제조할 것"이라고 밝혔다.
옵티머스 하드웨어 설계는 초기 양산 시점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개선될 예정이며, 예상치 못한 난제들은 개발 후반부에 발견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머스크는 컨퍼런스콜 전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 '엑스(X)'를 통해 "AI와 로봇이 모든 일을 대체하게 될 것"이라며 "채소를 가게에서 사는 대신 직접 재배하는 일처럼 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