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한강버스, 꼭 빨라야 하나… 대중교통으로 이용 가능"

김주희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23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2025년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한강버스'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밝혔다.

23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서울시 국정감사에서 여당은 정식 운항 열흘 만에 고장 등의 문제로 시민 탑승을 중단하고 무승객 시범운항으로 전환한 한강버스에 대해 '대중교통이 아니라 유람선'이라고 지적했다.

더불어민주당 양부남 의원은 "한강버스의 최대속도가 당초 계획보다 느리고 안전점검에서 지적사항이 많았다"면서 "정치적 의도 때문에 무리하게 사업을 진행하다가 배 안전성이 떨어졌다는 게 합리적인 지적"이라고 주장했다.

오 시장은 "정치적 스케줄이라는 것은 다 오해"라면서 "선박 건조 등 현실적 이유로 지연됐던 것이고, 사업을 백지화했다면 들어가는 비용이 훨씬 증가했을 것"이라고 답했다.

"한강버스 약속을 못 지킨 데 대해 시민들에게 사과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사과는 어렵지 않지만, 큰 사고가 있어서 탑승 운항을 중단한 게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윤건영 의원이 "(속도가 느려) 교통수단으로서의 가치를 잃어버렸다. 공공유람선으로 선회해야 한다"고 지적하자 오 시장은 "두 개의 기능을 다 가질 수 있다. 교통이 꼭 빨라야 하나"고 반문했다.

오 시장은 "6개월이 지나면 이용 패턴이 안정될 것이고, 시민들이 대중교통으로 이용하는지 유람선으로 타는지를 설문해보면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