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11개 도시 17명의 예술가가 기후 위기를 논한다

김은영 기자 TALK new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23~31일 중구 40계단·스페이스 닻·돛에서
시민 워크숍, 심포지움, 야외공연 등 다채
극단 밖 주최…NPO Asia meets Asia 협력
지난해 열린 '지구의 소리' 공연 모습. 홍승이 제공
지난해 열린 '지구의 소리' 공연 모습. 홍승이 제공


기후 위기는 더 이상 거대 담론이 아니다. 기후 위기 의제를 공연과 심포지엄, 워크숍을 통해 다각적으로 접근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극단 밖(대표 홍승이)은 NPO Asia meets Asia(대표 쿠미 하라다)과 협력해 23~31일 부산 중구 40계단·스페이스 닻·돛 등에서 ‘지구의 소리2: 세상이 끝난 후’(이하 지구의 소리2)를 진행한다. 부산문화재단 우수예술(다원예술) 지원을 받은 이번 국제 협업 프로젝트는 한국, 일본, 인도, 필리핀, 대만, 홍콩,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 11개 도시 예술가 17명이 참여한다.

행사는 크게 △워크숍 △심포지엄 △공연으로 구성된다. 가장 먼저 23~25일 스페이스 닻(대청로 135번길 3-1, 장안빌딩 3층)에서 열리는 시민 참여 워크숍은 ‘몸으로 말하는 기후위기’ 즉, ‘자연이 되어 보기, 지구와 호흡하기’는 인도 카탁 무용가 아르체나 쿠마르와 홍콩 멀티 퍼포머 리치만 폴이 진행한다. 23~24일 오후 7~9시, 25일 오후 4~6시이다.

29~30일 오후 2~5시 스페이스 돛(대청로 135번길 5, 1층)에서 열릴 ‘국제 심포지엄: 아시아의 식탁’은 ‘갯벌에서 발효까지, 식탁에서 시작하는 기후 행동’을 주제로 아시아 각국의 식문화와 기후위기의 관계를 탐구한다. 민은주(부산환경운동연합 전 사무처장) 전남장흥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과 부산한살림 박혜옥 활동가가 발표한다. 또한 필리핀 원주민의 전통 벼농사 의식, 인도의 쌀과 코코넛 놀이, 일본의 실험 요리, 말레이시아의 사라지는 음식 문화 영상, 대만 원주민의 다큐멘터리 등 예술가들의 다채로운 발표도 이어진다.

지난해 열린 '지구의 소리' 공연 모습. 홍승이 제공
지난해 열린 '지구의 소리' 공연 모습. 홍승이 제공


아시아 11개 도시가 협업한 야외공연 ‘지구의 소리-40계단이 말하는 세상의 끝, 그리고 새싹’은 29~31일 중구 40계단에서 펼쳐진다. 프로젝션 맵핑과 사운드스케이프가 어우러진 몰입형 퍼포먼스다. 홍석진 영상 디자이너는 계단의 수직 구조를 활용해 환경 파괴의 3단계(오염→온난화→멸종)를 시각화한다. 정만영 사운드 디자이너는 “과거 이 일대가 바다였다는 점에 착안해 물소리, 파도, 바람 소리를 계단 공간에 배치한다. 이 작업에는 17명의 예술가가 창작한 27개 모티프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탐구한다. 공연 시간은 29~30일 오전 11시 50분~오후 1시, 31일 오후 7시 30분~8시 40분이다.

홍승이 대표는 “많은 기후위기 프로젝트가 공포를 보여주지만, 우리는 절망하지 않고 춤춘다”며 “관객들이 ‘나도 뭔가 할 수 있다’는 작은 변화를 느끼고 돌아가길 바란다”고 전했다. 모든 프로그램은 무료로 진행되며, 워크숍과 심포지엄은 사전 신청을 통해 참가할 수 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