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미 3500억달러 투자 막판 협상…김용범 “일부 진전, 논의 더 해야 한다”

김덕준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김용범 정책실장, 김정관 산업부 장관 방미
미 상무부 청사에서 러트닉 상무장관과 만나
“잔여 쟁점 한두가지, 협상 막바지는 아냐”
한국과 미국이 22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무역 합의를 최종 도출하기 위한 막바지 협상을 벌였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과 함께 미 상무부 청사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만난 뒤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과 미국이 22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대미 3500억 달러 투자에 대한 합의를 최종 도출하기 위한 막바지 협상을 벌였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이날 미 상무부 청사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약 2시간 동안 만났다.

김 실장은 러트닉 장관을 만나고 나서 기자들에게 “남아있는 쟁점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했다”며 “일부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잔여 쟁점이 한두 가지라면서 “아주 많지는 않다. 논의를 더 해야 한다”고 말했다.

‘협상이 막바지 단계라고 보면 되느냐’는 질문에는 김 실장은 “막바지 단계는 아니고, 협상이라는 건 끝날 때까지 끝난 건 아니다”라고 답했다.

김 실장은 잔여 쟁점이 무엇인지, 또 이에 대해 어떤 진전이 이뤄졌는지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이번 협상의 가장 큰 쟁점이라 할 수 있는 3500억 달러(약 500조원) 대미 투자 패키지 구성 방안과 관련해 현금 비율, 자금 공급 기간 등이 의제에 올랐을 것으로 보인다.

김 실장은 김 장관과 함께 이날 오전 워싱턴 D.C.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을 통해 미국으로 입국하면서 기자들에게 “많은 주제는 의견이 많이 근접해 있고, 한두 가지 주제에서 양국의 입장이 차이가 크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그는 “많은 쟁점에 대한 이견은 어느 정도 조율이 돼 있고, 우리가 이번에 온 추가 주제에 대해 우리 입장을 미국이 조금 더 진지하게 이해해준다고 하면 좋은 결과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었다.

김 실장과 김 장관이 미국을 찾아 러트닉 장관을 만난 것은 지난 16일 이후 엿새 만이다. 이들은 당시 협상에서 만찬을 포함해 4시간 넘게 회담하며 상당 부분 이견을 좁혔지만, 한두 가지 남은 쟁점을 논의하기 위해 한국으로 귀국한 뒤 이번에 또 방미한 것이다.

김 실장과 김 장관은 이날 곧바로 애틀랜타로 이동해 귀국할 예정이다.

이날 협상 후 김 실장은 러트닉 장관과 곧 다시 만날 것이냐는 질문에 “만나기는 어렵다. (더 얘기할 게 있으면) 화상으로 해야 하지 않겠나”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이달 31일 경주에서 개막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전 타결될 것으로 보는지 묻자 “(APEC이) 우리에겐 중요한 계기”라고 말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