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2시간 동안 ‘3500억 달러’ 절충 협상 “일부 진전”

이대진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김용범(왼쪽)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22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과 함께 미국 워싱턴 DC에 있는 미 상무부 청사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만난 뒤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한미 양측이 무역 합의 최종 도출을 위해 2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막바지 협상을 벌인 가운데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일부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다.

김 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이날 워싱턴DC의 미 상무부 청사에서 2시간 동안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만나 무역 협상 관련 논의를 진행했다. 만남이 끝난 뒤 김 실장은 기자들에게 “남은 쟁점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했고 일부 진전이 있었다”며 “(남은 쟁점이) 아주 많지는 않다. 논의를 더 해야 한다”고 전했다. 김 실장은 잔여 쟁점이 무엇이며 어떤 진전이 있었는지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이날 만남에서는 3500억 달러 대미 투자의 세부적인 방안을 놓고 현금 비율, 투자 기간 등을 의제로 다뤘을 것으로 보인다. 앞서 김 실장과 김 장관은 이날 오전 미국으로 입국하며 “많은 주제는 의견이 많이 근접해 있고, 한두 가지 주제에서 양국의 입장이 차이가 크다”고 밝힌 바 있다. 이어 “우리가 이번에 온 추가 주제에 대해 우리 입장을 미국이 조금 더 진지하게 이해해 준다고 하면 좋은 결과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실장과 김 장관이 러트닉 장관을 만난 건 지난 16일 방미 이후 엿새 만이다. 이들은 당시 협상에서 4시간 넘게 회담하며 이견을 좁혔지만, 한두 가지 남은 쟁점을 해결하기 위해 귀국 사흘 만에 재차 미국을 찾았다. 짧은 일정의 추가 방문인 만큼, 마지막으로 남은 핵심 쟁점에 대해 한국 측 최종 카드를 제시하고 미국 측 반응을 확인하는 자리였을 것으로 보인다.

김 실장은 “(러트닉 장관과 다시) 만나기는 어렵다. (더 얘기할 게 있으면) 화상으로 해야 하지 않겠나”고 말하며 이달 31일 경주에서 개막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무역협상 타결의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다 밝혔다.

김용범(왼쪽)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22일(현지시간)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을 통해 미국에 입국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세계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