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출연금 역대 최대에도 역부족
100억 차입 이어 추가 차입 검토까지
“공공병원 운영구조 대대적 개조해야”
부산시 산하 공공병원인 부산의료원이 재정난으로 이번 달 직원 월급을 절반만 지급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로 경영 악화로 병원이 수년째 적자에 시달리면서 올 하반기에는 역대 최대 규모의 출연금 확대까지 했는데도 직원 월급이 밀린 것이다.
20일 부산의료원 등에 따르면 의료원은 이날 직원들에게 월급의 약 절반을 지급했다. 의료원 측은 지난 15일 직원들에게 이 같은 사실을 담은 문자 메시지를 보냈고, 나머지 월급에 대해서는 이달 말께 지급하겠다고 알렸다.
코로나19 확산 당시 전담병원으로 운영된 이후 경영난을 겪으면서, 직원들이 상여금이나 수당 지급을 밀려 받은 적은 있었지만, 월급을 절반만 지급받은 것은 코로나 이후로는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영 악화로 의료원은 지난해 금융기관으로부터 100억 원을 차입했고, 올해는 역대 최대 규모 출연금을 부산시로부터 받았다. 시는 올해 당초 86억 4000만 원이던 출연금을 88억 원 증액해 총 174억 원으로 늘렸다. 그러나 출연금이 증액된 지 불과 몇 개월 만에 월급이 밀리는 사태가 일어난 것이다. 기존에 차입한 금액에 이자를 포함해 상환도 해야하지만, 현재 경영 상태로는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이세용 부산의료원장은 최근 국정감사에서 추가 차입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지난 15일 이 원장은 국회 보건복지위 국정감사에 참석해 “지방의료원은 지방 필수 의료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나, 최근 재정적 압박으로 그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며 “올해 10월 추가로 40억 원을 차입하기 위해 부산시와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이 원장이 언급한 40억 원은 올 연말까지 직원의 인건비 등을 추산해 내년 출연금이 지급되기 전까지 일명 ‘버티기’를 위한 금액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출연금이 동나면 추가 차입을 통해 부족분을 보충하는 일명 ‘돌려막기’ 식의 대책으로는 향후 금융 부담이 늘고 의료진의 사기가 저하되는 등 악순환으로 이어지는 만큼 지방의료원의 운영구조를 대대적으로 손봐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보건의료노조 정지환 부산의료원지부장은 “직원들은 생계가 위협받는다는 불안을 느끼기도 하고, 또 한편으로는 시민들로부터 외면받는 것은 아닌가 하는 걱정도 많이 하고 있는 상당히 절박한 상황이다”며 “앞으로 어린이병원, 서부산의료원 설립과 침례병원의 공공병원 전환 등 공공병원은 더욱 늘어날텐데 운영구조나 지원구조가 대대적으로 바뀌지 않는다면 앞으로 더 큰 일이 생길 수 있다”고 밝혔다.
부산시는 21일 부산의료원 사측과 노조 등과 함께 부산의료원 정상화 TF팀 회의를 열고 임금 체불과 차입 등에 대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논의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현재 관련한 사항을 확인하고 있고, 추가 차입 여부에 대해서는 필요성에 대해 검토할 계획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