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항로 불확실성 해소하려면 현지인 협력 필수" [미리 보는 WOF 명강]

이호진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매즈 프레데릭센 AEC 사무국장
“공공 선투자로 민간 투자 견인”
쉘 스토빅 노드대 북극물류센터장
“IMO 극지 운항 규정 준수해야”


오는 24일 부산시 특별세션에서는 국내에서 관심도가 급격히 높아지고 국정과제로도 채택된 북극항로와 관련된 주요 인사가 연사로 나선다. 북극경제이사회(AEC) 매즈 크비스트 프레데릭센 사무국장과 노르웨이 노드대 쉘 스토빅 북극물류센터장이다. 두 연사는 북극 주변 현지인들과의 관계 형성, 투자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우선 매즈 크비스트 프레데릭센 사무국장은 “한국은 조선 부문과 북극 연구에서도 세계 선도 국가 중 하나”라며 “AEC와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같은 저명한 연구 기관을 연결하고 싶다”고 말했다. 프레데릭센 국장은 “북극 지역에서의 사업은 ‘신뢰의 속도’로 움직이므로 국가 간 신뢰를 꾸준히 구축해야 하고, 공공 부문이 선투자에 나서 위험을 줄이고 민간 투자가 더 활발히 이뤄지도록 길을 열어줘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북극 현지인에 대한 투자를 강조했다. 그는 “약 400만 명이 북극해를 둘러싼 지역에 사는데 이 중 10%가 원주민”이라며 “북극에서 생산돼 세계로 수출되는 해산물, 에너지, 원자재는 글로벌 기후 목표 달성에도 필수적이기에 정부와 기업이 주민에게 지속 투자해야 이 지역 블루 이코노미가 지속 가능한 발전 잠재력을 발휘할 것”이라고 밝혔다. 프레데릭센 국장은 가장 큰 불확실성은 글로벌 협력 기초가 되는 정치·제도적 환경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쉘 스토빅 북극물류센터장은 현재 세계 해양을 둘러싼 불확실성의 요체를 지정학적 요인과 기후변화로 꼽는다. 스토빅 센터장은 “북극에서의 운항 환경에 기후 변화가 큰 영향을 미치고, 해빙 감소가 북극해 운항 가능 기간을 늘릴 것”이라면서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서방의 강력한 제재가 이뤄지면서 북극항로 이용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그는 “이런 불확실성 속에서도 해운·물류 인프라의 회복력을 높이기 위해 수색·구조 역량, 예인선 확보, 위성 통신 시스템 강화가 필요하다”며 “국제해사기구(IMO)의 ‘극지 운항 규정’을 철저히 준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스토빅 센터장은 북극해 연안 순록 방목민을 비롯한 토착민과의 협력이 북극 물류의 불확실성과 위기에 대응하는 해법이 될 수도 있다고 제안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