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철·박영미·노기섭과 경쟁
당원 표심, 경선 판도 좌우할 듯
더불어민주당 변성완 강서지역위원장이 13일 부산시당위원장 출사표를 던졌다. 경선은 변 위원장과 유동철 수영지역위원장, 박영미 중영도지역위원장, 노기섭 전 시의원 등 4파전이 유력해졌다. 시당위원장에 도전하는 후보들 모두 ‘당원 주권’을 거듭 강조했는데, 지난 시당위원장 경선에서 당원들의 표심이 당락을 가른 만큼 이들이 얼마나 투표에 나서 결과에 영향을 미칠지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변 위원장은 이날 동구 민주당 부산시당에서 시당위원장 출마 기자회견을 열고 “2026년 민주당 지방선거 승리의 기준은‘부산탈환’”이라며 “지방선거 승리를 위해 든든한 산처럼 뒤에서 힘이 되는 병참기지의 사령관이 되겠다”고 했다.
변 위원장은 이날 △당원 주권 확대 △부산탈환시민연대(가칭) 구성 △해양수도 부산 완성 프로젝트 추진 △지역속으로 파고드는 부산 시민과 함께하는 민주당 △공정하고 신뢰받는 공천 관리 등 부산 탈환 5대 전략도 발표했다.
변 위원장은 다른 시당위원장 후보들과 달리 시의회가 아닌 당사에서 출마 기자회견을 진행했는데, 지지층에 적극적으로 표심을 호소하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다른 시당위원장 후보들도 ‘당원 주권’을 거듭 강조했다. 유동철 위원장은 지난 1일 출마 기자회견에서 “당원 중심의 정당 운영을 복원, 공천 혁명을 계승해 열린·투명·공정 공천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박영미 위원장도 “낡은 활동 방식에 안주하지 않고 당원들과 함께 혁신 또 혁신하겠다”고 강조했다. 노기섭 전 시의원은 “평당원이 최고위원이 되는 시대, 지역위원장이 아닌 당원이 시당위원장이 될 수 있는 시대가 바로 당원주권시대”라고 밝혔다.
이 같은 시당위원장 후보들의 선거 전략은 정청래 대표가 ‘당원 주권 정당’을 거듭 천명한 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정 대표는 “국민주권시대에 걸맞는 당원주권시대, 1인 1표 시대, 당 의사결정에 당원들이 적극 참여할 수 있는 구조와 제도를 만들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시당위원장 보궐선거에서부터 당원투표 비율이 지금보다 더 높아질 수 있단 관측이 나오는 대목이다.
실제 당원들의 표심은 당내 경선 판도에 큰 변화를 만들어낸다. 지난해 이재성 전 시당위원장이 당선될 당시 이 전 시당위원장은 권리당원과 대의원 득표율이 각각 59.45%, 28.19%였고 변 위원장은 40.55%, 71.81%를 얻었다. 두 사람의 득표율 차이를 보면 이 전 시당위원장은 대의원에서는 43.62%포인트(P) 뒤처졌지만 권리당원에서 18.99%P 앞서며 승리했다.
한편, 민주당 부산시당은 조만간 중앙당 지침이 내려오면 선거관리위원회를 즉각 구성해 이르면 11월 안에는 새 사령탑을 뽑을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