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백악관 “트럼프, 북한 김정은과 전제조건 없는 대화 열려 있어”

이대진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019년 6월 30일 오후 판문점 군사분계선 북측 지역에서 만나 인사한 뒤 남측 지역으로 이동하기 전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백악관이 30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전제조건 없이 대화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백악관 관계자는 이날 ‘트럼프 행정부가 핵 문제를 언급하지 않고도 북한과의 대화가 열려 있냐’는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과 어떤 전제 조건 없이 대화하는 것에 여전히 열려 있다”고 답했다.

이 관계자는 또 “미국의 대북 정책은 변함이 없다”고도 밝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미국의 원칙과 목표에 변화가 없다는 점도 간접적으로 시사했다.

이번 답변은 최근 김정은 위원장의 ‘비핵화 포기를 전제로 북미정상대화 의향이 있다’는 발언에 대해 트럼프 행정부 나름의 고민을 반영한 입장인 것으로 보인다.

앞서 북한 관영매체 보도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지난달 21일 최고인민회의에서 “개인적으로는 현 미국 대통령 트럼프에 대한 좋은 추억을 가지고 있다”며 “만약 미국이 허황한 비핵화 집념을 털어버리고 현실을 인정한 데 기초하여 우리와의 진정한 평화 공존을 바란다면 우리도 미국과 마주서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밝힌 바 있다.

‘비핵화 포기’를 조건으로 내건 북한의 대화 제안에 대해 일주일여 만에 백악관 측이 ‘비핵화 견지’를 간접 시사하면서도 ‘전제 조건 없는 대화’라는 입장을 보인 것이다.

이에 따라 이달 말 우리나라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의체(APEC) 정상회의와 맞물려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만날 가능성에 대한 관심도 높아질 전망이다.

기존 외교문법에 얽매이지 않는 트럼프 대통령의 성향을 고려할 때,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북미 정상회담이 성사될 가능성이 있다고 국내외 한반도 전문가들은 전망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 동안 김 위원장과 2018년 6월 싱가포르, 2019년 2월 베트남 하노이, 2019년 6월 판문점 등에서 3차례 만난 바 있다. 마지막 판문점 만남은 당시 문재인 대통령과 함께한 3자 회동이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세계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