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인준… 부인이 한국계

임주형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지명 7개월 만에… 북미 대화 담당
마이클 디솜버(왼쪽 세 번째)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차관보와 가족들. 디솜버 오른쪽 여성이 한국계 아내인 진 디솜버. 디솜버 SNS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에서 한반도 외교 실무 책임자 역할을 할 마이클 디솜버(57)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차관보 지명자가 연방 상원의 인준 절차를 통과해 조만간 업무를 시작할 예정이다.

9일(현지시간) 미국 의회 사이트에 따르면 디솜버 지명자에 대한 인준안은 지난 7일 상원 표결에서 찬성 51표, 반대 47표로 가결 처리됐다. 이에 따라 디솜버는 지난 3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의해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로 지명된 지 약 7개월 만에 취임하게 됐다.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남북한과 중국, 일본, 아세안 등을 관할한다. 따라서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북미대화가 추진될 경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디솜버는 트럼프 1기 행정부 말기인 2020년 3월부터 이듬해 1월 트럼프 대통령의 집권 1기 임기가 끝날 때까지 태국 주재 대사를 지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의 기조에 따라 언론 칼럼 등을 통해 코로나19 사태와 남중국해 문제 등 중국 정부를 비판했다. 과거 홍콩에서 장기간 근무해 중국어에 능통하고 부인이 한국계 미국인이어서 한국어도 어느 정도 구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무부 군비통제·국제안보 담당 차관으로 지명된 토머스 디나노 전 국무부 부차관보도 같은 날 상원 인준을 통과(찬성 51표-반대 47표)했다. 국무부 군비통제·국제안보 담당 차관은 비확산, 군비통제, 역내 안보, 국방관계, 무기 이전, 안보 지원 등 미국의 글로벌 안보 정책을 담당한다. 또 미국의 대한국 핵우산 공약에 대해 논의하는 한미 외교·국방 확장억제전략협의체(EDSCG) 고위급 회의의 국무부 측 책임자를 맡는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세계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