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이후 전셋값 상승과 맞물려
전세 대출 잔액의 3분의 2가 고소득층에 집중되고 저소득층 비중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2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말 고소득 차주가 받아 간 전세 대출은 전체 잔액의 65.2%에 달했습니다.
소득 상위 30%의 고소득층 전세 대출 잔액 비중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셋값 상승기와 맞물려 꾸준히 높아졌습니다.
2021년 1분기 말 61.2%에서 2022년 1분기 말 62.3%, 2023년 1분기 말 62.4%, 2024년 1분기 말 62.8% 등으로 차츰 늘다가 올해 1분기 말 64.6%로 크게 뛰었습니다.
이어 올해 2분기 들어 65%를 넘었습니다.
차주 수 기준으로도 2021년 1분기 말 49.8%로 절반 이하였으나, 2022년 1분기 말 50.9%, 2023년 1분기 말 51.8%, 2024년 1분기 말 52.3%, 올해 1분기 말 54.0% 등으로 비중이 확대됐습니다.
올해 2분기 말은 54.6%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소득 하위 30%의 저소득층 전세 대출 비중이 잔액 기준과 차주 수 기준에서 모두 추세적으로 줄어든 것과 정반대 흐름입니다.
올해 2분기 말 저소득 차주가 받아 간 전세 대출은 전체 잔액의 7.6%에 그쳤습니다.
이 비중은 2021년 1분기 말 9.1% 수준이었으나, 2022년 1분기 말과 이듬해 1분기 말 각 8.9%, 2024년 1분기 말 8.1%, 올해 1분기 말 7.7% 등으로 점차 낮아졌습니다.
차주 수 기준 비중도 2021년 1분기 말 12.5%에서 계속 줄었습니다. 2024년 1분기 말 10.3%에서 올해 1분기 말 9.9%로 하락해 10%를 밑돌았고, 2분기에도 같은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소득 상위 30-70%의 중소득층 전세 대출 비중 역시 잔액과 차주 수 기준으로 모두 줄어 저소득층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