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적 두 국가’ 정부 입장될 것”…정동영 발언 도마

장혁진 기자 TALK
입력
수정 2025.10.14. 오후 10:06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늘(14일) 통일부 국정감사가 진행된 가운데, 남북 '두 국가론'이 쟁점이 됐습니다.

'평화적 두 국가론'이 정부의 공식 입장이 될 거란 정동영 장관의 발언이 도마에 올랐습니다.

정 장관은 개성공단 재가동을 준비하겠단 의지도 내비쳤습니다.

장혁진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북한을 국가로 인정하느냐, 이른바 '두 국가론'을 두고 여야는 설전을 벌였습니다.

[김기웅/국회 외교통일위원/국민의힘 : "우리 헌법과 대법원 판례는 북한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강선우/국회 외교통일위원/더불어민주당 : "우리 국민의 절반 이상 가량이 북한의 국가성을 인정한다…"]

'평화적 두 국가론'을 줄곧 주장한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본인의 입장이 곧 공식화될 거라 했는데,

[안철수/국회 외교통일위원/국민의힘 : "두 국가론 계속 이렇게 그 주장을 하실 겁니까?"]

[정동영/통일부 장관 : "이것이 정부의 입장으로 저는 확정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안철수/국회 외교통일위원/국민의힘 : "지금 안 됐지 않습니까?"]

[정동영/통일부 장관 : "지금 논의 중입니다."]

여당에서도 신중론이 나왔습니다.

[윤후덕/국회 외교통일위원/더불어민주당 : "어마어마한 개념, 통일론 자체가 바뀌는 건데, 이런 정도면 국민과 협의를 해야 돼요. 국민의 동의를 받아야 된다고 봅니다."]

논쟁은 정부 외교·안보 라인의 '자주파-동맹파' 간 엇박자 논란으로 번졌습니다.

[김석기/국회 외교통일위원장/국민의힘 : "대통령이 통일부 장관을 컨트롤하지 못하고 있다, 국가안보실장, 외교부장관과 전혀 다른 얘기 하거든요."]

[김준형/국회 외교통일위원/조국혁신당 : "자주파 뭐 이미 논란을 아실 텐데요. 장관님, 동맹파십니까? 자주파십니까?"]

[정동영/통일부 장관 : "이 정부의 외교안보팀 모두가 자주적 동맹파라고 생각합니다."]

이달 말 경주 APEC 기간에 북미 정상의 '판문점 회동' 가능성도 언급됐습니다.

[정동영/통일부 장관 : "공개된 정보와 자료를 분석했을 때 저는 가능성이 꽤 높다. 무슨 일이든 일어날 수 있다."]

통일부는 개성공단지원재단 등 남북 회담과 교류 관련 조직들을 복원하겠다고 보고했는데, 정 장관은 '경협 사업의 정상화'를 언급하며 개성공단 재가동을 준비하겠단 의지도 내비쳤습니다.

한편, 합동참모본부 국정감사에서 진영승 합참의장은 북한의 신형 ICBM '화성-20형'에 러시아가 기술을 지원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장혁진입니다.

촬영기자:김상민/영상편집:김형기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