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 위험 뻔한데 1명도 못 걸렀다…보증보험은 ‘무사통과’

송수진 기자 TALK
입력
수정 2023.03.11. 오전 7:07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앵커]

이러한 사기 조직들은 전세금 반환 보증 제도를 범행에 계속 악용해 왔는데요, 주택도시보증공사는 이를 전혀 막지 못했습니다.

가입 과정에서 사고 위험이 뻔한 빌라왕들도 전혀 걸러내지 않았습니다.

이어서 송수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서울 강서구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사기 조직의 빌라 관리 대장입니다.

수천 채를 사들인 뒤 주로 신혼부부와 청년들과 전세 계약을 맺은 기록이 빼곡합니다.

계약과 함께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에 가입하게 하고, 혹시 사고가 나도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다며 세입자들을 안심시켰습니다.

보증보험은 목돈이 없는 세입자들이 전세금을 대출받을 때에도 활용됐습니다.

그러고는 전세 계약이 끝나면 보증금을 못 돌려준다며 버티거나 잠적해버렸습니다.

[전세 사기 빌라 세입자/음성변조 : "'허그(주택도시보증공사)에 돈(전세금)을 요청하겠다, 허그를 통해서 주겠다. 되게 당당하게 막..."]

세입자를 보호하기 위한 전세금 보증 제도가 사기 조직에게는 범행을 실행할 발판이었던 셈입니다.

보증 보험 가입은 매번 무사통과였습니다.

[전세 사기 조직 관계자 : "심사 절차가 뭐 있어요? 신청 단계에서 심사는 끝나는 거예요. 전세가율이랑 이런 비율만 맞으면 그냥 끝나는 거예요."]

실제, 주택도시보증공사는 보증 보험 가입을 결정할 때 전세가율과 가압류 설정 여부 등만 따집니다.

임대인이 누군지는 가리지 않습니다.

보증금 사고를 낸 적 있는 악성 임대인만 아니라면, 사기 조직과 관련이 있는지는 살피지도 않습니다.

주택도시보증공사는 "현행법상 사전에 임대인에 대한 정보를 얻을 방법이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장석호/공인중개사 : "(한 임대인이) 1년 이내에 뭐 몇백 건씩 신청한다고 하면 당연히 의심했어야죠. 예상이 되는데 그걸 거르지 않았기 때문에 그 부분에 대해서 직무유기라는 걸 얘기를 하는 거죠."]

국토교통부도 이와 관련해 검토 중인 대책은 없다고만 밝혔습니다.

KBS 뉴스 송수진입니다.

촬영기자:김성현/영상편집:신남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