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흡연-비흡연자 폐 전격 공개! 이래도 피우시겠습니까?
20~30년간 담배를 핀 흡연자들이 새까맣게 변해가는 자신의 폐를 직접 본다면 어떤 반응을 보일까요?
KBS가 방송 사상 처음으로 '폐' 내시경 영상을 입수해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폐를 전격 비교, 분석했습니다.
박광식 의학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조명이 달린 고화질 내시경 카메라를 갈비뼈 사이로 집어넣습니다.
KBS 취재진이 방송 뉴스로는 처음으로 흉강경 영상을 이용해 비흡연자와 흡연 15년 차, 흡연 30년 차인 사람의 살아있는 폐를 비교 분석했습니다.
비흡연자의 폐는 전체적으로 연분홍 빛깔이 선명하고 생기가 돕니다.
일부 보이는 검은 앙금은 대기오염 물질과 미세 먼지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하지만 담배를 하루 한 갑씩 15년간 피워온 사람의 폐에는 검은 반점이 곳곳에 보입니다.
이 새까만 물질들이 바로 담배 연기의 그을음으로, 타르를 비롯한 발암물질입니다.
이보다 2배를 더 피운 흡연 30년 차의 경우 폐 전체가 검은 잉크를 뿌려놓은 것처럼 온통 시커멓습니다.
폐 표면이 이 정도면 폐 속 조직은 이미 발암물질로 꽉 찬 상태입니다.
하지만 이 사람은 이때까지도 겉으로는 증상이 전혀 없었습니다.
<인터뷰> 이기헌(분당서울대병원 금연 클리닉 교수) : "담배 속에 있는 타르, 중금속, 유기용제, 발암 물질 들이 차곡차곡 폐포(공기주머니)에 쌓이게 됩니다. 흡연이 폐암을 25배 더 발생시킵니다."
한번 검게 변한 폐는 원상 복귀가 불가능합니다.
당장 담배를 끊는 것만이 폐건강을 지키는 유일한 방법임을 폐 영상은 말해줍니다.
KBS 뉴스 박광식입니다.
박광식기자 (doctor@kbs.co.kr)
▶ [취재후] 방송에서 못한 현장 이야기
▶ KBS뉴스 SNS [트위터][페이스북][카카오]
[저작권자ⓒ KBS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KBS 주요뉴스해당 언론사에서 선정하며 언론사(아웃링크)로 이동합니다.
3
KBS 헤드라인
더보기
KBS 랭킹 뉴스
오후 10시~11시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
더보기
함께 볼만한 뉴스
5
이슈 NOW
언론사에서 직접 선별한 이슈입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