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족 성폭력' 평생 남는 트라우마…지원 사각지대 (풀영상)
부모나 형제에게 성폭력을 당한 아동들은 성인이 된 뒤에도 심한 트라우마에 시달립니다. 하지만 피해자들이 받은 충격과 상처를 극복하기에는 우리 사회의 지원은 턱없이 부족합니다.
탐사 보도부 정다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20대 중반의 여성 A 씨는 어릴 때 겪었던 끔찍한 일 때문에 수차례 자해를 시도했습니다.
2살 때부터 언니와 보육원에서 살던 중 12살 되던 해, 갑자기 아빠가 찾아와 함께 살게 됐는데 그때부터 악몽이 시작됐다고 합니다.
[A 씨/친족 성폭력 피해자 : 눈에 보이는 거 뭐 파리채 야구 방망이 나무 각목 이런 거 잡고 막 마구잡이로 때렸어요.]
성폭력에도 시달렸습니다.
[A 씨/친족 성폭력 피해자 :자기 위로 올라와라 한다거나 그냥 자연스럽게… 그게 전 몰랐어요. 나쁜 짓인지.]
중학생 때 몸 곳곳에 난 멍을 발견한 교사 신고로 친족 성폭력 사실이 드러나 아빠는 구속됐고, 자신은 친족 성폭력 보호시설로 보내졌습니다.
A 씨는 성인이 된 지금도 심한 트라우마에 시달린다고 합니다.
---
20대 후반의 여성 B 씨, 어릴 적 부모가 이혼한 뒤 고모 집에서 살게 되면서 불행이 시작됐다고 했습니다.
고모의 폭력, 그리고 고모부의 강제추행이 이어졌습니다.
B 씨가 중학교에 들어가던 해, 이런 사실이 드러나면서, 친족 성폭력 보호시설로 가게 됐는데 성인이 된 지금도 심한 불안과 두려움에 시달린다고 합니다.
[B 씨/친족 성폭력 피해자 : 불안증 이런 게 엄청 많아서 어두워지거나 이러면 엄청 겁이 많아지거든요. 기댈 곳이 없다 보니까.]
친족 성폭력 피해자들은 트라우마가 이렇게 심한데도 체계적인 지원을 받지 못합니다.
가정폭력을 당한 아동들은 복지시설에서 나간 뒤에도 5년간 전국 17개 자립지원 전담기관에서 경제적, 정신적 고통과 관련해 상담을 받고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것과 대비됩니다.
[권선미/특별지원 보호시설 상담원 : 이 친구들은 사실은 (시설을) 나가면 기댈 곳이 없어요. 어디 도움 요청할 데도 없으니까 저희한테 연락할 수밖에 없는 거죠.]
지난 5년간, 전국 4곳의 친족 성폭력 보호시설에서 머물다 나간 피해자는 114명.
여전히 심각한 트라우마에 시달려도 전담 기관이 없다 보니 스스로 해결책을 찾아야 하는 실정입니다.
(영상취재 : 최대웅, 영상편집 : 윤태호, 디자인: 최재영, VJ : 김준호)
---
<앵커>
가정폭력 피해 아동과 친족성폭력 피해 아동이 감당해야 할 상처의 무게는 다르지 않습니다. 똑같이 절실한 도움이 필요한데도, 정부 지원에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왜 이런 건지 정다은 기자 보도 계속 보시겠습니다.
<기자>
20대 여성 A 씨는 초등학생 때 아빠로부터 성폭력을 당했습니다.
언니와 함께 경찰 조사를 받았는데 그때부터 두 사람의 운명이 갈렸습니다.
[A 씨/친족 성폭력 피해자 : 언니는 자기는 그런 거(성폭력) 당한 거 없다고. 언니는 (아동복지시설)에 남겠다 했고, 저는 거기(친족 성폭력 피해자 보호시설) 데려다 주는 거예요.]
성인이 되면서 각각 시설에서 나온 이후, 정부의 지원은 천양지차였습니다.
아동복지 시설에서 나온 언니는 정부 지원으로 LH 임대아파트에서 살 수 있게 됐고, 또, 최대 2천만 원에 달하는 자립 정착금 지원도 받았습니다.
아동복지 시설에 머물 동안에 매달 5만 원씩 저축하면 정부가 매달 10만 원까지 추가로 적립해주기도 했습니다.
A 씨도 친족 성폭력 보호시설에서 나온 뒤 언니처럼 지원을 기대하고 신청했지만 실망스런 답을 들어야 했습니다.
[A 씨/친족 성폭력 피해자 : 생활비 같은 거 지원해 준다 해서 넣었는데 '자립준비 청년' 서류가 아니라고 안 된다고….]
아동학대로 복지시설에 있다가 나온 청년들은 '자립준비 청년'으로 인정받아 각종 정부 지원을 받지만 친족 성폭력 보호시설에서 나온 청년들은 자립준비 청년에서 제외되기 때문입니다.
[B 씨/친족 성폭력 피해자 : 월세나 이런 부담감이 엄청나니까 이걸(자립준비 청년)로 혹시 할 수 있느냐 했더니 안 된다고 하더라고요. 소속된 곳이 달라 가지고 안 된다고.]
그나마, 올해부터 친족 성폭력 보호시설에서 나오는 피해자들은 자립지원금 천만 원과 월 생활비 50만 원을 받게 됐지만 A 씨는 그전에 나왔기에 이조차도 다 받지는 못했습니다.
친족 성폭력 피해 아동도 자립준비 청년에 포함해 복지부 지원 대상에 넣게 하자는 관련법 개정안이 발의돼 있지만 부처 간 이견과 예산 문제로 여전히 국회에 계류 중입니다.
(영상취재 : 최대웅, 영상편집 : 윤태호, VJ : 김준호)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SBS 주요뉴스해당 언론사에서 선정하며 언론사(아웃링크)로 이동합니다.
3
SBS 헤드라인
더보기
SBS 랭킹 뉴스
오후 5시~6시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
더보기
함께 볼만한 뉴스
5
이슈 NOW
언론사에서 직접 선별한 이슈입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