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부실 대응 질타…전·현 정부 네 탓 공방도
방금 보신 국정자원 CCTV 영상과 관련해 국감장에서도 질타가 이어졌습니다. 현장 작업자들이 화재 발생에 제대로 대응을 못했다는 건데, 증인으로 나온 국정자원장은 배터리 공사 특수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했던 점을 인정했습니다.
이어서 손기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당시 내부 CCTV 영상이 국정감사장에서 공개되자, 여야 의원들은 현장 작업자들이 우왕좌왕하는 등 전문성이 없어 보인다고 지적했습니다.
[김성회/민주당 의원 : 화재 발생 가능성에 대해서는 전혀 대비를 하지 못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원장님, 이런 부분에 대해서는 검증을 좀 하시고 사람들을 뽑은 겁니까?]
[이재용/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 : 그렇진 않았습니다. 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일반 경쟁 입찰이었고.]
배터리 이동 설치 작업의 매뉴얼도 없었고, 감리도 엉터리였단 비판도 이어졌습니다.
[고동진/국민의힘 의원 : 일반적인 내용만 기술돼 있고 충전량을 확인해야 된다든가 랙(선반) 별로 전원을 차단하다든가 이런 사전 조치 내용이 아무것도 기록이 안 되어 있어요.]
[이재용/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 : 업체의 선정, 또 계약의 조건, 입찰의 방법, 그런 부분들부터 배터리의 이설(이동설치) 공사란 특수성을 특별히 고려한 부분들이 부족했다고 생각하고요.]
여당은 전 정부가 정보시스템 이중화를 제대로 안 만들어놨다고, 야당은 현 정부가 대응을 미숙하게 했다고 상대 진영 탓을 하기도 했습니다.
[박정현/민주당 의원 : 원인이 국민의힘 정부 때 있었으면 사실은 그 부분에 대해서 좀 스스로들 자성을 하시고.]
[박덕흠/국민의힘 의원 : 사고 발생부터 이후 대처와 피해 복구 작업까지 그야말로 모든 과정이 다 잘못된 총체적 난국이라고 평가합니다.]
화재로 중단된 정부 전산시스템의 복구율은 41.9%를 나타냈는데,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모든 역량을 총동원해 하루빨리 복구되도록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김용우, 영상편집 : 황지영)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SBS 주요뉴스해당 언론사에서 선정하며 언론사(아웃링크)로 이동합니다.
3
SBS 헤드라인
더보기
SBS 랭킹 뉴스
오후 10시~11시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
더보기
함께 볼만한 뉴스
5
이슈 NOW
언론사에서 직접 선별한 이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