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여론조사] 부동산 정책…4050만 긍정, 나머지는 부정적

이황희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계속되는 수도권 집값 상승을 막기 위한 이재명 정부의 초강력 부동산 규제정책에 대해 집을 보유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40대와 50대 사이에서는 규제 위주의 정책에 긍정적 반응을 보인 반면, 20대와 30대는 부정평가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 같은 결과는 주간조선이 창간 57주년을 맞아 10월 10일과 11일 양일간 여론조사 전문업체 케이스탯에 의뢰해 내년 6월 지방선거의 최대 격전지로 예상되는 서울과 부산의 유권자 각각 800명을 대상으로 한 시장 후보 적합도와 현안 여론조사에서 드러났다.

서울에서는 긍정평가가 43%, 부정적 평가가 45%로 집계됐다. 다만 연령별로 40대와 50대에서 '긍정평가'가 각각 58%와 59%, '부정평가'는 35%와 37%로 나타났다. '긍정평가'가 가장 높은 연령대는 50대였고, 60대부터는 부정평가가 다시 역전했다. 60대는 '긍정평가' 41%, '부정평가' 49%였고 70세 이상은 긍정평가 26%, 부정평가 45%를 기록했다. 70세 이상에서 긍정평가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부산에서도 부정적 평가가 45%로 긍정평가(41%)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0대와 50대에서는 '긍정평가' 우위 결과가 나왔다. 각각 '긍정평가' 56%와 55%를, '부정평가' 40%와 34%를 기록했다.



이념성향별 응답 역시 두 도시 간 양상이 유사했다. 서울 내 보수층은 '긍정평가' 20%, '부정평가' 72%로 부정 의견이 다수였다. 반면 중도층에서는 '긍정평가' 44%, '부정평가' 42%로 2%포인트 차로 긍정이 높았다. 진보층의 경우 '긍정평가' 74%, '부정평가' 18%로 응답층 중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모름·무응답층에서는 '긍정평가' 20%, '부정평가' 43%로 부정평가가 다시 우위를 기록했다.

부산의 보수층은 '긍정평가' 17%, '부정평가' 73%로 가장 낮은 긍정 반응이 나타났다. 반면 부산의 진보층은 '긍정평가' 75%, '부정평가' 17%로 두 도시의 이념 성향별 응답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중도층은 '긍정평가' 37%, '부정평가' 46%'였고 모름·무응답층은 '긍정평가' 17%, '부정평가' 44%였다.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평가는 서울과 부산 모두 부동산 거래 참여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40대와 50대에서 긍정 비율이 유독 높았고, 정치 성향에 따라서도 극명히 갈렸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안심번호 무작위 추출을 통한 전화면접 조사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5%p, 응답률은 11.8%다. 자세한 내용은 중안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응답값은 소수점 이하에서 반올림해 정수로 표기하기 때문에, 세부항목의 합이 100%가 되지 않을 수 있음)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