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여론조사] 내년 지방선거, '與 힘실어야' 서울ㆍ부산 50%

박혁진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약 1년 만에 치러지는 내년 지방선거는 정권심판보다는 국정안정론 성격이 강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다만 국정안정론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평가가 현 시점에서의 국정운영 긍정 평가보다는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두 조사결과의 흐름이 대체적으로 비슷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현 정부에 대한 긍정 평가 비율이 낮아질 경우 내년 지방선거가 여권에 우세할 것이라는 전망은 힘을 잃게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주간조선이 창간 57주년을 맞아 10월 10일과 11일 양일간 여론조사 전문업체 케이스탯에 의뢰해 내년 6월 지방선거의 최대 격전지로 예상되는 서울과 부산의 유권자 각각 8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후보 적합도 및 현안 여론조사 결과 서울과 부산 모두에서 내년 지방선거 성격이 '정권 안정론'이라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50%인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정권견제 성격의 선거라고 응답한 비율도 각각 40%를 넘어, 내년 지선도 보수와 진보 진영 간의 치열한 세 대결이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도시별 구체적 수치를 살펴보면 서울의 경우 '이재명 정부 성공을 위해 여당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비율이 50%, '정부를 견제하기 위해 야당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비율이 42%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은 각각 50%와 40%로 나타났다. 세부 항목을 보면 서울은 정치적 분화가 세대·지역을 따라 선명히 갈렸다. 40대와 50대에서는 각각 72%와 61%의 응답자가 국정안정론을 택했고, 20대와 70대는 각각 39%와 32%만이 국정안정론을 택했다. 20대의 경우 정권견제론이 44%로 오히려 국정안정론보다 높게 나왔다. 20대를 다시 성별로 나누면 남성의 경우 정권견제론이 49%에 달했고, 여성은 40%에 그쳤다. 지역별로는 강남·서초·송파 등 동남권에서 정권견제론이 55%로 절반을 넘었다.

부산 역시 국정안정론이 50%에 달했으나 오히려 정권견제론은 서울보다 2%포인트 낮게 조사됐다. 오차범위 내긴 하지만 보수세가 강한 부산에서 정권견제론이 서울보다 낮은 것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연령별로 보면 70대를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국정안정론이 높았다.

이념적으로 보면 서울과 부산 모두 진보에서는 국정안정론, 보수에서는 정권견제론이 높았다. 자신을 중도층이라고 답한 응답자 중에서도 서울과 부산 모두 50%가 국정안정론을 택했다. 다만 정권견제론과의 격차가 각 도시마다 10%포인트(서울), 15%포인트(부산)로 진보나 보수층에서의 차이보다 훨씬 작았다. 이번 조사 결과는 내년 지방선거가 단순히 여야 정당의 대결을 넘어 '세대 대결'이자 '중도층의 선택'으로 귀결될 것이라는 해석이 가능하다.

한편 현 정부의 국정운영평가에 대해 서울은 56%, 부산은 55%가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부정평가는 각각 38%와 40%였다. 이 조사에서도 서울의 20대 남성의 경우 부정평가가 53%로, 긍정평가(37%)보다 16%포인트 가까이 높았다. 서울 40대와 50대의 긍정평가는 각각 75%와 70%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안심번호 무작위 추출을 통한 전화면접 조사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5%포인트, 응답률은 11.8%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응답값은 소수점 이하에서 반올림해 정수로 표기하기 때문에, 세부항목의 합이 100%가 되지 않을 수 있음)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