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성인물 허용 논란에... 올트먼 "우리는 도덕경찰 아니다"

이소진 기자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샘 올트먼 오픈 AI CEO. photo 뉴스1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챗GPT' 내 성적 대화나 성인 콘텐츠를 허용하겠다는 방침에 대한 논란에도 자사의 정책을 다시 한 번 견지시키는 입장을 내놨다.

올트먼은 15일(현지시각) 자신의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전날 자신이 챗GPT 콘텐츠 정책 변경 방향에 대해 알린 게시물을 언급하며 "이 트윗은 챗GPT의 향후 변경 사항에 관한 내용인데, 성애물(erotica) 부분에서 예상보다 훨씬 더 폭발적인 관심을 받았다"고 적었다.

올트먼은 전날 엑스를 통해 "12월부터 연령 제한 기능을 더 완전히 도입하며 '성인 이용자는 성인답게 대하자'는 원칙에 따라 인증된 성인에게는 성애물 같은 훨씬 더 많은 것을 허용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후 올트먼의 엑스 계정에는 이를 반대하며 비판하는 댓글이 쇄도했다. 오픈AI의 새로운 정책에 반대하는 네티즌들은 '현실에서 이용자 연령 확인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어린이·청소년의 성인 콘텐츠 접근을 막기 어렵다', '성인 이용자라 해도 성도착증 등 정신건강 문제를 더 심화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올트먼은 이날 올린 글에서 "우리는 세계의 선출된 도덕 경찰이 아니다"라며 "사회가 다른 적절한 경계(예를 들어 R등급 영화)를 구분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우리도 여기서 비슷한 것을 하고 싶다"고 설명했다. 올트먼은 "AI가 사람들의 삶에서 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됨에 따라 그들이 원하는 방식으로 AI를 사용할 수 있게 많은 자유를 허용하는 것은 우리의 사명에서 중요한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주간조선 온라인 기사입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세계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